
더에듀 지성배 기자 | 우리나라 초등학교와 중학생 학생들은 세계 최상위 수준의 수학과 과학 성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감 등 정의적 태도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으나 학교 공부에 인터넷 사용 비율은 국제 평균 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부는 4일 국제 교육성취도평가 협회가 발표한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 비교 연구(TIMSS) 2023’ 결과를 배포했다.
TIMSS는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2학년 대상 수학과 과학 성취도를 측정하는 평가로 지난 1995년 시작돼 4주기로 시행되고 있다. 이번 주기에는 59개국 초등학교 4학년 학생 35만 9098명, 44개국 중학교 2학년 학생 29만 7262명이 참여했다. 우리나라는 총 8612명(초4 4355명, 중2 4257명)이 참여했다.

초4 수학 세계 3위, 과학은 2위/ 중2 수학 세계 3위, 과학은 4위
우수 수준 이상 비율 높고, 기초 이하 수준 비율 높아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의 수학 점수는 594점으로 58개국 중 3위, 과학은 583점으로 2위를 기록했다. 국제 평균은 각각 503점과 494점이다.
중학교 2학년은 44개국 중 수학 점수 596점으로 3위, 과학 점수 545점으로 4위를 차지했다. 국제 평균은 두 과목 모두 478점이다. 이는 이전 주기와 동일한 순위로 매우 높은 성취를 유지했다.
성별로는 두 학년 모두 남학생의 평균점수가 여학생보다 높았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점수 차이는 초4 수학 17점·과학 15점, 중2 수학 6점·과학 5점이었다.

특별히 우리나라 초4와 중2는 수학과 과학 모두 우수 수준 이상 비율이 국제 중앙값보다 높았으며, 기초 이하 수준 비율은 낮았다. 중앙값은 값을 크기 순으로 나열할 때 가장 중앙에 놓인 값을 의미한다.
국제 분포는 보통 수준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우리나라는 우수 또는 수월 비율이 높았다.

상승하고 있는 흥미, 자신감 등 정의적 태도
점수 뿐만 아니라 자신감 등의 정의적 태도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초4의 경우 수학과 과학에 대한 흥미는 이전 주기와 동일(8.9→8.9/ 9.5→9.5))했으나 자신감은 상승(9.2→9.7/ 9.1→9.8))했다.
중2의 경우 흥미(9.0→9.5/ 8.7→9.3), 자신감(9.5→9.6/ 8.9→9.0), 가치 인식(8.5→8.9/ 9.1→9.4) 모두 상승했다.
또 교사가 수업 내용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이해하기 쉽게 돕는다는 응답도 수학과 과학 모두에서 국제 평균보다 높았다.
반면 수학이나 과학 교과의 학교 공부를 위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비율은 국제 평균보다 낮았다.
교육부는 “상위 성취 수준을 유지하고 정의적 태도를 지속해서 향상시키겠다”며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학생 맞춤형 교육, 지식과 연계된 재미‧탐구 중심 수업 확대, 사고력‧문제해결력을 키우는 학생 주도적 탐구활동 강화 등 관련 정책 추진에 더욱 매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