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평가 폐지 청원 통했다...교육부 "과제형·암기형 지양"

  • 등록 2025.07.02 12:58:21
  • 댓글 0
크게보기

수업 시간 내 이뤄진다는 원칙 철저히 적용

 

더에듀 전영진 기자 | 수행평가 폐지 청원이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가운데, 교육부가 과제형 수행평가 등을 금지하고 수업시간 내에서만 진행 원칙의 철저한 적용을 대안으로 내놨다.

 

교육부는 2일 보도자료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이고 수행평가의 취지를 더 잘 살릴 수 있도록 수행평가 운영 방식을 올해 2학기부터 개선해 나가겠다”며 이 같은 방안을 내놨다.

 

지난달 20일 국민동의 청원 사이트에 ‘수행평가 제도 전면 재검토’ 청원이 올라왔다. 강성태 공신닷컴 대표가 올린 것으로 확인된 이 청원은 ▲과도한 평가 부담과 학생 건강 위협 ▲평가 기준의 불투명성 및 주관성 문제 ▲교육 불평등 심화와 사교육 의존 ▲비현실적인 과제 수준과 창의성 저하 ▲교사들의 업무 부담 과중 등의 문제를 제기했다.

 

특히 “고등학생들은 한 학기에 펴윤 50여개에 달하는 수행평가를 수행한다”, “평균 수면 시간이 3~4시간에 불과하다”, “교사 재량 점수 부여로 객관성과 공정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고액 컨설팅 및 대리 수행 서비스 이용 등 환경적 차이로 교육 불평등 심화” 등의 부작용을 기술했다.

 

해당 청원은 2일 오후 1시 현재 2만 6161명의 동의를 얻었다. 

 

이 같은 상황에 교육부는 수행평가의 본래 취지를 회복하고 학생들의 과도한 부담을 줄이겠다며, 우선 모든 수행평가는 수업시간 내 이뤄진다는 원칙을 철저히 적용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부모의 도움 등 외부 요인의 개입 가능성이 높은 과제형 수행평가와 과도한 준비가 필요한 암기식 수행평가는 진행하지 않도록 한다”고 밝혔다.

 

학교는 자체 점검표를 활용해 학습 부담 유발 요인을 스스로 개선하고, 시도교육청은 매 학기 시작 전 모든 학교 평가 계획의 면밀한 점검에 나선다.

 

또 7~8월 중 시도교육청별로 학교 관리자와 평가 담당자를 대상으로 수행평가 도입 취지, 평가 운영 관련 규정 유의 사항 등을 안내할 예정이다.

 

시도교육청과 협의를 통해 관련 지침 개정도 추진한다.

 

김천홍 책임교육정책관은 “수행평가는 단순한 시험을 넘어서 학생의 성장과 변화를 지원하는 교육의 중요한 과정”이라 “학교가 수업과 평가의 본래 목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현장과 지속해서 소통하며 제도 개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수행평가는 암기 위주 지필평가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생의 전인적 성장과 고차원적 사고 능력 발달 지원을 위해 1999년 처음 도입됐다.

전영진 기자 te@te.co.kr
Copyright Ⓒ 2024 더에듀미디어(The Edu Media). All rights reserved.

좋아요 싫어요
좋아요
10명
27%
싫어요
27명
73%

총 37명 참여









대표전화 : 02-850-3300 | 팩스 : 0504-360-3000 | 이메일 : te@te.co.kr CopyrightⒸ 2024 (주)더에듀미디어(The Edu Medi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