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8 수능 문항 예시 공개한 교육부...종로학원 평가는?

  • 등록 2025.04.17 10:17:21
  • 댓글 0
크게보기

 

더에듀 지성배 기자 | 교육부가 2028 대입제도 개편안이 적용되는 현재 고1 학생의 수능 준비를 돕는다며 예시 문항을 공개한 가운데, 종로학원이 이를 분석한 자료를 내놓으며, 큰 변화는 없지만 유기적 결합으로 인한 통합적 사고와 자료 분석 및 해결 능력 등의 능력을 더 요구하게 될 것이라고 평했다.

 

2028 대입에서 국어ˑ수학ˑ사회탐구ˑ과학탐구 영역에서 선택과목이 폐지된다.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이 출제되며 두 영역 모두 25문항을 40분 안에 각각 풀어야 하는 변화를 맞이한다.

 

이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예시 문항 시험지를 만들었으며, 교육부는 “학생과 교사의 이해를 돕고자 평이한 수준으로 문항들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예시 문항을 분석한 종로학원은 국어는 ‘특별한 변화가 없다’, 수학은 ‘출제 경향은 바뀌지 않지만 난이도는 다소 높은 편’, 통합사회는 ‘유기적 결합으로 인한 통합적 사고력 요구’, 통합과학은 ‘개념 이해 바탕 분석 능력 요하는 문항 증가’ 등으로 평가했다.

 

아래는 종로학원의 2028학년도 수능 예비 문항 분석 자료 원문.


◆ 국어 영역

 

1. 화법과 언어: 현 체제의 매체 문제와 같은 출제 경향을 보인다. 특별하게 새로 공부해야 할 무언가가 있다기보다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언어 영역과 관련해서 기본적인 개념학습에 중점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

 

2. 독서와 작문: 특별히 새롭게 공부해야 할 요소가 있지는 않다.

 

3. 문학: 현 체제와 큰 변화가 없다.

 

4. 예시 문항들은 현 체제 기준으로 3점 문제들에 해당하지만 킬러 문항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 수학 영역

 

1. 측정하는 수학적 사고력(계산 능력, 이해 능력, 추론 능력, 문제 해결 능력)은 15개정 교육과정과 22개정 교육과정이 동일하므로 출제 경향은 바뀌지 않을 것.

 

2. 2023학년도 수능부터 출제되지 않던 빈칸추론 문제가 제시되었으므로 해당 유형에 대학 학습도 충분히 해야 함.

 

3. 2028학년도 수능 문제 배열은 21학년도 수학 나형(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을 참고하여 공부해야 한다. 다만 21학년도 수능 대비 28학년도 수능은 통합형이므로 난이도는 다소 높은 편.*대수, 미적분Ι, 확률과 통계가 1~30번까지 섞여서 출제되며 출제 범위가 동일.

 

◆ 통합사회

 

1. 윤리 6문항, 일반사회 8문항, 지리 7문항, 통합형 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영역의 특성이 나타나는 문항이 다수 출제되었으며, 3번(지리+일사), 12번(일사+지리), 13번(일사+지리), 23번(지리+역사)의 4문항을 통해 제 영역들의 유기적 결합을 추구한 문항이 출제되었다.

 

2. 현재 사회과와 도덕과를 구성하는 각 영역별 유의미한 교육적 내용과 소재들이 주요 주제로 출제되었다. 급격한 변화보다는 점진적 변화를 통해 평가의 안정성과 연속성을 추구하였다. 기본 개념을 확인하는 문항은 주로 1.5점을, 통합적 사고력과 2개 이상의 자료를 해석해야 하는 문항의 경우 2.5점을 배점하여 변별도를 조정하였다.

 

3. 학습 팁: 교과 고유의 성격을 반영한 문항 출제에 대비하여 교육 과정 내 기본 개념 학습을 충실히 하여야 한다. 제시문과 자료를 활용한 2과목 이상이 융합된 문항이 출제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다양한 자료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 통합과학

 

1. 통합과학 교과의 특성에 적합한 형태의 문제들로 구성되었다. 지난해 발표된 교육청 예시 문항과 기조를 같이하며, 새로운 유형의 문항들이 눈에 띄었고, 각 영역의 개념 간의 관계를 명확히 알아야 풀이 가능한 융합형 문항이 다수 출제되었다.

 

2. 복잡한 계산을 요하는 문제와 단순 공식 암기로 풀이하는 문항들이 사라졌고, 깊이 있는 개념 이해를 바탕으로 한 데이터 분석 능력을 요하는 문항이 비중이 급격히 늘어났다. 하지만, 고난도 문항은 통합형이 아닌 각 영역별 단독 문항 위주로 출제되었으며 기존에는 잘 제시되지 않았던 데이터 분석이 필요한 자료 형태가 추가된 것이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3. 기존의 2점, 3점 배점이 1,5점, 2점, 2,5점으로 바뀌었으나, 고난도 문항의 난이도는 기존에 비해 맍이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4. 학습 팁 : 스킬 위주의 문제 풀이에서 벗어나 깊이 있는 개념 이해를 바탕으로 각 영역의 개념 간 관계에 대한 학습이 요구된다. 또한 새로운 자료가 제시되었을 때 자료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지성배 기자 te@te.co.kr
Copyright Ⓒ 2024 더에듀(The Edu). All rights reserved.

좋아요 싫어요
좋아요
0명
0%
싫어요
0명
0%

총 0명 참여









대표전화 : 02-850-3300 | 팩스 : 0504-360-3000 | 이메일 : te@te.co.kr CopyrightⒸ 2024 더에듀미디어(The Edu Medi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