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에듀 김승호 객원기자 | 올해 전면 시행에 들어선 고교학점제가 학교 현장 혼란과 불안을 가중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단위학교가 스스로 운영 실태를 진단하고 개선할 수 있는 ‘자율 점검 도구’가 개발됐다. 외부 평가가 아닌 내부 주체의 자율적 점검을 통해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김영은 연구위원은 지난 7월 <교원교육>에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단위학교 자율 점검 요소 탐색 연구’ 논문을 게재했다.
외부 모니터링만으로는 지속적인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판단 아래, 학교 구성원 스스로 고교학점제 운영 역량을 진단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한 것이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맞춰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 기준을 충족하면 학점을 취득해 졸업하는 제도로, 지난 2017년부터 추진됐다. 올해 전면 시행됐지만, 현장에서는 교사 업무 부담 증가, 과목 선택의 어려움, 대입 제도와의 괴리 등 다양한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매뉴얼과 컨설팅만으로는 학교별로 특수하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한계도 드러났다.
이에 김 위원은 고교학점제 운영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와 현장 교사들로 워킹그룹을 구성해 자율 점검 도구의 핵심 요소를 도출했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도구는 학교 현장이 스스로 점검해야 할 5가지 영역과 그에 대한 세부 질문들로 이뤄져 있다.
구체적으로 ▲운영 체제 및 문화(교육과정 중심 업무 재구조화와 구성원들의 제도 인식 개선에 관한 영역으로 고교학점제 안착을 위한 학교 문화 조성을 목표로 한다) ▲교육과정 편성·운영(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과목 개설 노력, 공동교육과정 활성화 등 학생 선택권 보장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점검한다) ▲진로·학업 설계 지도(학생들의 과목 선택과 학업 관리를 지원하는 체계가 잘 구축되었는지 확인한다. 이는 진로 탐색과 학습 설계를 돕는 중요한 과정이다) 등이다.
또 ▲교수·학습 및 평가(과정 중심 평가의 활성화,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 등 교수법과 평가의 내실화를 위한 점검이 이뤄진다) ▲학교 공간 조성과 활용(학생들이 다양한 학습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홈베이스, 도서실 등 학교 공간이 효과적으로 조성되고 활용되는지를 점검한다)을 담았다.
김 위원은 개발된 자율 점검 도구를 통해 “고교학점제 정책 취지와 학교 현장의 간극을 줄이는 운영에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교학점제의 운영 동력은 단위학교라는 공동체에 있으며, 이들에게 운영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자율적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사에 대한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해당 논문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홈페이지를 통해 내려받을 수 있다.
한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교사노동조합연맹,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교원 3단체는 오는 18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7간담회실에서 ‘고교학점제, 어디로 가야하는가’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