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 6~21세 학령인구가 2015년 892만명에서 2024년 714만명으로 크게 줄면서 작은학교 역시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서울 등 대도시 역시 피해갈 수 없는 상황은 작은학교에 대한 이해를 높일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에 <더에듀>는 ‘띵동! 작은학교입니다’의 저자 장홍영 교사(경북교육청 소속 6학급 학교 근무)를 통해 작은학교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장 교사는 “경험은 적지만 신규의 마음은 신규가 가장 잘 알기에 혼자 힘들어하고 계실 신규 선생님을 응원하며 글을 썼다”며 “선생님들을 존경하는 마음을 담아, 어떤 선생님들께 누가 되지 않으면서, 어떤 선생님들껜 감히 조그마한 위로가 되길 기원한다”고 밝혔다. |

교육청에서 학급에 지원금을 주는 ‘우리 모두 다함께’라는 사업이 있었다. 당시 새로 생긴 사업이어서 교장 선생님께서 업무용 메신저로 신청해 보길 추천해 주셨다. 운 좋게도 2년 연속 선정이 되어 오롯이 우리 반 아이들과 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었다.
첫해에는 강사님 3분을 섭외하고 3D 펜을 구매했다. 학생 수가 20명이 넘으면 1인당 쓸 수 있는 예산이 적을 텐데 학생 수가 적은 작은 학교에 근무하는 것에 감사했다. 사실 지금 예산을 받는다면 발달한 다양한 만들기 키트를 활용해서 강사님 없이 더 많은 활동을 할 수 있을 것도 같다. 하지만 당시엔 전문가를 모셔서 아이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주고 싶었다.

첫 번째 활동은 ‘가죽 지갑 만들기’였다. 활동이 끝나자 아이들은 “선생님, 5학년 하길 잘했어요!”, “야, 그게 아니고 우리 쌤 만나서 좋은 거지!”라며 최고의 극찬과 함께 “내년에도 만나요!”, “성인 되면 선생님이랑 놀 거예요!”라며 귀여운 애정의 말을 퍼부어 주기도 했다. 예산을 받아서 하는 활동이었지만, 신청은 내가 한 것이기에 아이들의 칭찬을 온몸으로 누렸다.
아이들과 마찬가지로 교사도 칭찬을 좋아한다. 물론 목적이 보이는 가식적인 칭찬은 기분이 나쁠 수도 있다. 하지만 칭찬은 말로만 하는 게 아니다. 나는 아이들이 진심으로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는 것만으로 칭찬받는 기분이 든다. 힘이 들다가도 아이들에게서 사랑을 듬뿍 받으면 직업 만족도가 올라간다.

두 번째 활동은 ‘티아라 케이크 만들기’였다. 아이들은 케이크 만드는 일을 무척이나 좋아했다. 우선 생크림을 직접 꾸덕꾸덕하게 만들고, 빵 시트 사이 사이와 윗면과 옆면에 생크림을 발랐다. 그리고 본인이 원하는 식용 색소를 골라 생크림에 넣은 뒤 케이크에 한 번 더 발라주었다. 여기까지만 해도 아이마다 케이크 색깔이 달라서 참 예뻤다. 다음엔 각자의 취향대로 진주 초콜릿 등의 재료로 장식하고, 중앙에 티아라를 올려 케이크를 완성했다.
그리고 몇 달 후 전교생이 케이크 만드는 시간을 갖게 되었다. ‘하하호호’ 아이들은 “선생님과 한 번 해봐서 엄청 쉬워요!”라고 외치며 신나게 케이크를 만들었다. 그 모습을 보니 이런 게 아이들 키우는 재미라는 생각이 들었다.

세 번째 활동은 ‘포슬린 아트’였다. 포슬린 아트란, 유약이 발린 완성된 도자기에 특수 물감으로 페인팅을 한 후 800도 가마에 구워 완성하는 예술 활동이다.
수업 전 아이들이 컵에 그리고 싶은 도안을 미리 고르게 해서 인쇄까지 해두었다. 수업 시간이 되자, 아이들은 도안 밑에 먹지를 대고 컵 위에서 선을 따라 그리기 시작했다. 미술 활동 시간에는 아이들의 성격이 보여서 더욱 재미있다. 사실 컵 위에 따라 그리는 선은 도자기를 굽고 나면 지워져 버린다. 하지만 완벽주의 성향의 친구들은 삐뚤게 그리는 것을 절대로 참지 못했다.
도안을 완성한 뒤 아로마 오일과 물감을 섞어 색을 입혔다. 종이에 그림을 그리는 것과 달리 포슬린 아트는 물감도 언제든 지울 수 있어서 편했다. 색을 입힐 땐 너무 세게 칠하기보다 쓱쓱 스쳐 가듯 힘 조절이 필요했다. 포슬린 아트에 집중하는 아이들을 보고 있으려니, 가끔은 힘을 빼고 살아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2주 뒤 학교로 완성품이 배달되었다. “선생님, 너무 재밌어요. 또, 해요!”, “늦게 받으니까 선물 받는 거 같아요.”, “선생님, 제 거 수정해 주셨어요? 왜 이렇게 예쁘게 나왔어요?” 등의 말을 서로 주고받으며 모두가 행복한 웃음을 지었다. 아이들이 컵을 유용하게 사용하는 것을 보니 더욱더 어깨가 펴졌다.

마지막은 3D 펜을 이용한 수업이었다. 3D 펜은 재료만 있으면 언제든지 만들 수 있어서 아이들과 실과나 창의적체험활동 시간을 이용해 자주 만들기 활동을 했다. 처음엔 도안을 이용해 힘들게 만들던 아이들이 얼마 되지 않아 원하는 물건을 입체로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다.
아이들이 못 할 것이라 지레짐작하면 안 된다. 내가 만난 아이들은 하나같이 나보다 잘하는 게 많았다. 그래서 교사도 학생의 도움을 많이 받는다. 아이들에게 도움을 받다 보면 기특하기도 하고 나에게 없는 능력이 부럽기도 했다. ‘하하호호 5학년’ 짱이다!1)
1) ‘최고’라고 쓰고 싶었으나 솔직한 나의 마음은 이 워딩이 더 정확하다.
‘하하호호 5학년’ 때는 ‘우리 모두 다 함께’ 사업만 신청했지만, ‘비타민씨 5학년’과 함께할 때 ‘사제동행 동아리’라는 사업이 새로 생겼다. 운이 좋게 둘 다 선정이 되어 학생들과 요리 동아리를 운영할 수 있었다. 혼자 재료를 준비하는 것이 힘들어 2년 차 때 학부모셨던 강사님을 모시고 6번의 요리 활동을 진행했다. 과일 찹쌀떡을 만들 땐 교감 선생님도 함께해 주셨다. 딸파패청2)을 만든 날엔 양을 많이 준비해서 전교생을 초대하는 행사도 진행했다.
2) 딸기, 파인애플, 패션푸르츠청의 줄임말이며 물 또는 우유와 1:1의 비율로 섞어 먹으면 맛있는 음료가 된다.
감사하게도 딸파패청 나눔터 당일 아침, 초대장을 받은 학생들과 선생님들께서 우리 반을 찾아주셨다. 그래서 비타민씨 아이들이 나누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다. 나눔을 할 때 즐거운 분위기를 위해 선글라스를 낀 학생도 있었다.
작은 학교에 있으면 전교생이 한마을에 있는 느낌이 든다. 그래서 무언가를 반에서 하게 되면 전교생과도 나눔을 하고 싶다. 기왕이면 많은 학생이 경험해 봤으면 하는 마음 때문이다. 다른 학년이 질투할 수도 있기에 반에서 조용히 활동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지만, 학년 구분 없이 모두가 친하게 지낼 수 있는 것이 작은 학교의 장점이다. 지나고 보면 당시 내가 연구부장이었기에 담임 선생님들께서 협조를 해주신 것 같다.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나눔을 하는 과정에서 아이들은 힘듦을 토로하기도 했다. 음료를 받으러 온 학생들이 질서를 지키지 않아서, 오래 서 있으니 다리가 아파서 지쳤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이들은 뿌듯하고 재미있었다며 소감을 말했다. 그런 학생들을 보니 나도 보람찬 기분이 들었다.
사제동행 요리 동아리에서는 떡카롱, 떡도그, 떡치킨, 떡돼지바, 바람떡도 만들며 아이들과 함께 즐거운 추억을 쌓았다. 예산이 더 있었다면 더 오래 요리 수업을 할 수 있었을 텐데 그렇게라도 함께할 수 있어서 감사했다.(지금은 교육용 요리 키트가 많이 개발되어서 2024년 아이들과는 강사님 없이 요리 수업을 많이 했다.)
학생들을 위해 아낌없이 주시는 강사님의 마음이 통했는지 아이들은 매번 강사님께서 가져오신 많은 짐을 주차장까지 함께 옮겼다. 큰 학교에서는 이런 걸 못 할지도 모른다는 걱정이 들어 괜스레 이 시간이 더 소중하게 느껴졌다.
사실 ‘우리 모두 다함께’ 사업 2년 차에는 신청자가 늘어났는지 반 이상 지원금이 줄었다. 사업이 새로 생기는 만큼 없어지는 것도 많아서 관심이 있다면 문서등록대장의 공문을 종종 살펴보는 게 좋다. 이런 사업이 선정되면 자유롭게 예산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떻게 예산을 운용했는지 보고해야 해서 귀찮을 수도 있다. 그러나 어려운 일이 아니기에, 학생들과 눈치 보지 않고 하고 싶은 활동이 많이 있다면 적합한 사업을 찾아 신청해 보길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