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에듀 정지혜 기자 | 대선을 2주 앞두고 일부 전·현직 국립대 총장과 교육감들이 거점국립대를 서울대 수준으로 육성하고 서울대와의 협력 체계를 만드는 정책을 제안했다.
양오봉 전북대 총장을 비롯한 전현직 총장과 교육감들은 20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가칭)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 제안을 했다.
이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서울대 10개 만들기’,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의 ‘공동학위제’ 등과 맥락을 같이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9개 거점 국립대를 서울대 수준에 근접하는 최상위권 대학 수준으로 협력 체계를 만들어서 미국 캘리포니아대학(UC) 체제와 같은 동반성장 구조를 마들자”고 주장했다.
이어 “초중등 분야에서는 대학 서열화와 대입 경쟁으로 교육이 왜곡됐고 학생과 교사, 학부모를 포함해 모든 교육 주체가 고통으로 내몰리고 있다”며 “서울 소재 몇개 대학으로 인재가 향하면서 지역은 구인난을 겪고 기업 유치가 더 어려워지면서 지역 침체의 원인이 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수도권 집중과 지역소멸, 대입 병목현상을 완화하려면 지역의 리더들을 배출해 온 지역 통합국립대를 다시 우뚝 세우는 게 가장 빠른 길”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제안에는 현직에선 충북대·전북대·강원대·전남대·제주대·충남대 등 6개 거점국립대 총장과 박종훈 경남교육감, 이정선 광주교육감, 김석준 부산교육감, 최교진 세종교육감, 도성훈 인천교육감, 서거석 전북교육감, 천창수 울산교육감, 김광수 제주교육감, 김지철 충남교육감이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