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전영진 기자 | 교육감 직선제 도입 후 18년간 전북교육청 교육국장과 전주교육장은 모두 중등 출신인 것으로 확인되면서 초등교사도 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북교사노조는 10일 전북 초등교원 41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97%가 “중등 중심 인사 관행 개선을 요구했다”며 “차기 교육감에게 제도 개선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북교사노조는 지난 4~10일, SNS와 교육청 내부 교직원 메신저망을 통해 설문을 실시했다. 응답자의 직위는 교사 342명(82.4%), 교감 18명(4.3%), 교장 36명(8.7%), 장학사·연구사 18명(4.3%), 장학관·연구관 1명(0.2%) 등 총 419명이다.
전북교사노조에 따르면, 전북교육청은 교육감 직선제가 시행된 지난 2008년 이후 본청 3급 고위직인 교육국장과 정책국장 그리고 전주교육장에 단 한 번도 초등교사 출신이 자리하지 못했다. 현재도 교육국장은 중등 출신, 정책국장은 개방직, 전주교육장은 중등 출신이다.
이들은 “중등 출신만을 임명하는 인사 관행은 특정 학교급 출신에게만 고위직의 문이 열려 있는 구조를 고착화 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며 “초등교사에게도 공정하게 기회가 부여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설문 결과도 이 같은 주장을 뒷받침한다.
교육국장에 초등교사도 임명될 수 있다고 동의한 응답자는 403명(97.6%), 전주교육장의 경우 407명(97.6%)으로 나타났다. 두 항목 모두 비동의 응답은 약 2.4%에 그쳤다.(교육국장 문항 응답자 413명, 전주교육장 문항 응답자 417명으로 응답자 수는 다르지만, 비율은 동일하게 97.6%로 계산됨)
응답자들은 주관식 답변에서 ▲현행 제도가 불합리하다 ▲오래된 관행을 바로 잡아야 한다 ▲능력의 차이가 아니라 관성적인 인사 때문이다 등에 더해 ▲초등교사 출신이 교육국장이나 전주교육장을 한 번도 맡지 못했다는 사실 조차 처음 알았다며 비판적 입장을 보였다.
정재석 전북교사노조 위원장은 “중등 중심 인사 관행은 반드시 개선돼야 한다”며 “학교급을 이유로 한 보직 차별이 더 이상 반복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북교육청이 인사제도의 형평성과 다양성을 진지하게 검토하길 바란다”라며 “차기 전북교육감에게 제도 개선을 공식적으로 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