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서 토론회 연 유은혜 전 장관, '학교 정치장화' 논란 휩싸여

  • 등록 2025.11.17 19:45:55
  • 댓글 5
크게보기

유 전 장관 공동대표 맡은 경기교육이음포럼, 17일 수원의 한 초등학교서 진로진학 토론회 주관

토론회 공동주최는 수원 지역 김승원·백혜련·김영진·김준혁·염태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학부모들 행사 앞서 기자회견 "사실상 사전선거운동, 학교 정치장화 멈춰야" 비판

 

더에듀 지성배 기자 | 내년 경기교육감 선거 출마를 준비하는 유은혜 전 교육부장관(경기교육이음포럼 공동대표)이 학교의 정치장화를 조장한다는 비판에 휩싸였다. 포럼 측은 행사 공간으로 학교 사용에 대한 부적절성을 인정하면서도 공식 답변은 피했다.

 

경기교육이음포럼은 17일 오후 2시 경기 수원의 한 초등학교에서 ‘지금 여기에서 시작하는 새로운 경기교육 제3차 토론회’를 열었다. 주제는 진로진학에 관한 것으로 현직 고등학교 교사가 발제로 나서 고교학점제 등에 대해 설명했다.

 

문제는 이번 토론회가 수원을 지역구로 둔 김승원·백혜련·김영진·김준혁·염태영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공동주최했으며, 학교의 일과가 마무리되지 않은 시점이라는 것이다.

 

정치 중립이 크게 요구되는 초등학교에서 이 같은 토론회가 열리면서 학부모들은 정치행사라며 비판하고 나섰다.

 

 

행사 1시간 전인 오후 1시 기자회견을 연 학생학부모교사인권보호연대(학인연)는 “학교라는 공간은 학생, 교사, 학부모 교육의 3주체가 가꾸어 가는 곳”이라며 “정치인들의 놀이터로 사용되면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토론회를 주관한 포럼에 대한 문제도 제기했다. 포럼은 내년도 경기교육감 선거 출마를 준비하는 유은혜 전 교육부장관이 공동대표를 맡고 있으며, 이날 행사에 참석해 개회사를 했다.

 

학인연은 “사실상 사전선거운동”이라며 “민간단체와 정치인들이 학교를 정치장화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날 행사에는 100여명이 넘는 인원이 행사장을 찾았지만 정문에서는 어떠한 신분 확인 절차가 진행되지 않았다. 또 차량이 운동장을 가득 채우면서 학생들은 하교 후 학교 운동장을 활용할 수 없는 상황이 펼쳐졌다.

 

경기교육청 ‘학교출입증 및 출입에 관한 표준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일일방문자들은 관리대장을 작성한 후 신분증 등을 학교의 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다만, 불가피한 경우 별도 신분 확인 자료와 절차를 통해 갈음할 수 있다.

 

 

학교 정문을 지키는 관계자는 <더에듀>에 “내방객이 많아 일일이 확인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며 “경찰분들도 있어서 입장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학교 주변에는 학인연의 집회 신고로 10명 가까운 경찰이 함께 했다.

 

학교장도 “현실적으로 정문에서 내방객을 확인하기 어렵다고 생각해 포럼 측과 토론회 참석자 방명록을 통해 내방객을 체크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정 정당 소속 정치인들이 공동주최하는 행사인지 몰랐다”라며 “진로진학이 주요 행사 내용이라 학부모 등 주민과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강당 사용을 승낙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행사와 집회 등에 관해서는 사전에 교직원과 학부모, 학생 등에게 설명했고 특별한 이의제기는 없었다”고 밝혔다.

 

포럼 관계자는 토론회 중 <더에듀>의 학교 사용 부적절성 지적에 대한 문의에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토론회가 종료된 후 요청한 공식 입장에는 회신하지 않았다.

 

한편, 학인연은 이날 학교 관계자에게 항의서한을 전달했다. 이들은 서한 ‘특정 정당과 단체 및 개인을 위한 학교 장소 사용 허락에 대한 항의’를 통해 교장의 사과를 요구하는 한편, 다른 학교로 퍼지지 않도록 특정 정당의 학교 사용에 대한 반대 의견을 내 줄 것을 요청했다.

 

포럼은 경기 의정부에서 진행한 1차 포럼도 해당 지역구 의원들과 초등학교에서 진행했다. 다만 이때 시간은 오후 6시로 학교 일과가 마무리된 시점이었다.

지성배 기자 te@te.co.kr
Copyright Ⓒ 2024 (주)더미디어그룹(The Media Group). All rights reserved.

좋아요 싫어요
좋아요
9명
90%
싫어요
1명
10%

총 10명 참여









대표전화 : 02-850-3300 | 팩스 : 0504-360-3000 | 이메일 : te@te.co.kr CopyrightⒸ 2024-25 (주)더미디어그룹(The Media Grou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