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정지혜 기자 | 미국, 유럽, 아시아의 교육 정책은 어느 방향으로 가고 있을까. <더에듀>에서는 교육정책네트워크에서 발표하는 국가별 교육 동향을 바탕으로 매월 미국·캐나·영국·독일·프랑스·핀란드·덴마크·싱가포르·일본·중국 등 10개국에서 9월에 나온 소식 중 선별해 전한다. |

일본에서 지난해 따돌림 발생 건수가 923건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중에는 범죄행위로 간주되는 사안 등 학교만으로는 대응하기 어려운 사례도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학교 밖이나 인터넷 따돌림 등이 원인이 된 사례 등 재발방지 대책을 세우기도 곤란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문부과학성은 ‘따돌림 대책 마이스터’를 교육위원회에 설치해 학교에서의 따돌림 사안에 대한 조기 대응과 재발 방지를 지원하는 제도를 만들기로 했다.
내년에는 도도부현(都道府県)과 시구정촌(市区町村) 교육위원회 20곳에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추후 다른 지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따돌림 대책 마이스터’는 전직 경찰, 보호사, NPO법인, 대학교수, 전직 교장 등 다양한 직종의 전문가로 구성되며, 학교가 교육위원회에 상담을 요청할 경우 학교에 파견된다.
또한 따돌림 사안에 대해 조기 대응, 가해학생에 대한 지도와 지원, 중대 사태 조사 후의 학교의 조직 체제 정비 등을 지원한다.
아울러 중대 사태 조사에서 제시된 재발방지 대책을 고려해 같은 지역 내 학교의 재발방지 체제 정비에 대한 지원과 상담을 담당한다.
문부과학성은 내년에 5개 도도부현 교육위원회와 15개 시구정촌 교육위원회에 따돌림 대책 마이스터를 설치할 계획으로 내년 예산에 1억 6천만엔(한화 약 15억원)을 포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