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정지혜 기자 | 유보통합을 앞두고 0∼2세의 놀이를 통한 배움과 3~5세 누리과정과의 연계 강화를 위해 표준보육과정(0~2세) 부분 개정에 나선다. 교육부와 육아정책연구소는 26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와 27일 부산 동아대학교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표준보육과정(0~2세) 부분 개정’에 대한 대국민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공청회는 학부모·현장 교원·각계 전문가 등 국민과 함께 ‘표준보육과정 부분 개정’의 개정 방향과 내용을 공유하고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표준보육과정 부분 개정’은 유아의 주도성과 놀이를 강조하고, 영아가 즐겁고 안전한 환경에서 발달단계에 따른 교육·보육을 받도록 하는데 중점을 뒀다. 현 표준보육과정의 ‘기본생활·신체운동·의사소통·사회관계·예술경험·자연탐구’6개 영역을 ‘신체운동-건강·의사소통·사회관계·예술경험·자연탐구’ 5개 영역으로 조정했다. 구분돼 있던 기본생활과 신체운동의 목표도 통합해 제시했다. 공청회 후 교육부는 행정예고 및 중앙보육정책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부분 개정안을 11월 중 고시하고 내년 3월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현장 안착을 위해 해설서와 현장지원 자료를 개발·보급하고 원장 및 교사를 대상
더에듀 지성배 기자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지방교육재정교부금으로 어린이집을 지원하는 것에 교육 환경 후퇴를 이유로 반대 입장을 밝혔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정무위원회)은 지난 2일 어린이집의 국고 지원 근거인 유아교육지원특별회계법이 올해 일몰을 앞두고 있다는 문제를 제기하며 지방교육재정교부금으로 대체하는 내용의 지방교육재정교육금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유아교육지원특별회계법은 만 3~5세 유아 대상 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공통·보육과정(누리과정) 비용을 지원하는 특별회계로 지난 2017년 3년 한시 설치 이후 두 차례 연장을 거쳐 2025년 12월 31일 만료를 앞두고 있어 앞으로 어린이집에 국고 지원 근거를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민 의원의 법안에 교총이 정면으로 반대하고 나서면서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투입은 난항이 예상된다. 교총은 “유초중고 교육 예산이 크게 위축되고 교육 환경 개선이 후퇴할 가능성이 높다”며 “특히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한 교실, 개별 맞춤교육을 지향하는 교실과는 동떨어진 과밀학급 문제가 여전히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고 그 이유를 밝혔다. 실제 2023 교육통계연보에 따르면 초‧중‧고(고교는 일반고 기준)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