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지성배 기자 | 초중고등학생의 가짜뉴스 판별 등 디지털 문해 역량을 높이기 위한 법안이 추진된다.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교육위원회)은 지난 24일 ‘디지털 기반 원격교육 활성화 기본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현행법에서 디지털 미디어 문해교육은 학교 등의 장에게 실시 의무가 있으며, 계획과 지원은 중앙정부가 아닌 각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이뤄졌다. 고 의원은 학생의 가정환경과 학교의 디지털 인프라 수준 등에 따라 디지털 문해력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을 법안 발의 이유를 밝혔다. 가짜뉴스’와 같은 허위조작정보 등이 급속히 확산하고 학생들이 이를 비판 없이 받아들일 가능성이 과거보다 훨씬 더 높아졌다는 점도 이유로 댔다. 이에 개정안에는 ▲교육부장관이 5년마다 디지털 미디어 문해교육 기본계획 수립·시행 ▲교육감은 기본계획 내용과 해당 지역 교육여건 및 제반 환경 고려 연도별 디지털 미디어 문해 교육 시행계획 수립·시행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교육에 필요한 인력과 예산을 확보하는 등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하도록 했다. 특히 문화체육부장관은 디지털 미디어 문해교육의 내용을 유아교육과정과 초중등교육과정에 포함할 수 있도록 국가교육위원회에 협력을
더에듀 AI 기자 | 지난 11일, 사우디아라비아의 언론사 알 아라비야(Al Arabiya)에 따르면, 영국 정부는 학생들이 온라인에서 유통되는 가짜 뉴스와 음모론을 판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 계획은 국가 커리큘럼 개편의 일환으로, 학생들에게 비판적 사고 능력을 배양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전반에 걸쳐 실시될 예정이며, 학생들은 영어 수업에서 신문 기사 분석을 통해 허위 정보를 식별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또 컴퓨터 수업에서는 통계 데이터를 맥락 속에서 분석하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이러한 교육 개편은 최근 영국 전역에서 발생한 여러 폭력 사건이 온라인상의 허위 정보와 극단주의의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에 따라 제안되었다. 영국 교육부 장관 브리짓 필립슨(Bridget Phillipson)은 “젊은이들이 온라인에서 접하는 정보를 비판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이 프로그램이 학생들에게 현실 세계에서의 도전 과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의 도입은 2025년 9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며, 이는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