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전영진 기자 | 러닝스파크(대표 정훈)가 글로벌 에듀테크 증거 생태계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는 보고서 ‘기본과 혁신을 도모하는 에듀테크 증거 생태계: 거버넌스편’을 발간했다고 23일 밝혔다. 러닝스파크 이사 윤성혜 박사가 집필한 이번 리포트는 미국, 영국, 한국의 증거 기반 에듀테크 거버넌스 사례를 심층 분석하여, 공공과 민간의 협력을 통한 지속 가능한 에듀테크 증거 생태계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리포트는 학교 현장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에듀테크를 신뢰하고 선택할 수 있으면서도 에듀테크 산업의 혁신을 저해하지 않는 증거 기반 에듀테크 거버넌스는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 탐구한다. 또 미국과 영국의 사례를 통해 공공-민간 파트너십이 어떻게 에듀테크 증거 생태계를 발전시키는지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신뢰성과 혁신을 조화롭게 실현하기 위한 한국 에듀테크 생태계의 구체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정훈 러닝스파크 대표는 “지금은 공공 주도로 신뢰성을 확보하면서도 민간이 창의적 시도를 이어갈 수 있는 균형 잡힌 거버넌스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본 리포트가 교육 정책 입안자, 연구자, 에듀테크 전문가에게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리
더에듀 정지혜 기자 | “교수-학습 분석 및 진단 보조 시스템 개발과 전문 R&D센터 설립, 교육계획 및 교육과정 수립, 디지털 교육 전용 통합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 또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구축과 학교 인프라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 특히 디지털 교육 촉진법 제정과 종합계획 수립, 디지털 교육 지침 개발에 나서야 한다.” 박인우 고려대학교 교수가 10일 ‘디지털 교육 규범 체계 마련의 의의 및 과제’ 세미나 기조발제로 나와 이 같은 디지털 혁신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토론자들 역시 박 교수가 제시한 정책과제에 동의했으며, 교육부도 건설적 논의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준비할 예정임을 밝혔다. 박 교수는 ▲디지털 기술 활용 교수-학습 지원 ▲인공지능 활용 교육과정 개발 ▲실감형 콘텐츠 개발 및 기반 시설 구축 ▲디지털 기술 활용 교원 전문성 및 역량 강화 ▲디지털 기술 전문 인력 양성 방안(K-MOOC 등 활용)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또 ▲에듀테크 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교 환경구축 ▲디지털 활용 교육 플랫폼 구축 ▲디지털 기술 활용 교육제도 및 법령 정비 ▲디지털 기술 활용 교육 민·관·학 협력 거버넌스 ▲디지털 교육 전담 기구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