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지성배 기자 | “멀리 보고 함께하는 평택교육으로 미래를 열어가겠다.” 김윤기 제31대 평택교육장의 평택 교육 파악과 분석 그리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한 해법 구상은 취임 두 달이면 충분했다. 도농복합지역으로 크게는 대한민국의, 적제는 경기도의 축소판이라 불릴 수 있을 정도로 평택은 다양한 환경이 존재한다. 다양한 환경은 다양한 유형의 교육을 가능하게 하지만, 역설적으로 교육격차 역시 크게 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실례로 전국에서 손에 꼽히는 인구 증가 지역으로 학교 신설 수요도 꾸준히 늘고 있지만, 폐교 역시 막을 수 없는 상황에 속한 지역도 존재한다. 김윤기 교육장은 이 같은 강점과 단점을 어떻게 활용해 평택 교육을 우뚝 세울 수 있을까. 또 대규모 삼성 반도체 단지 조성과 미군기지 등 지역 자원 활용법은 어떻게 구상하고 있을까. 특히 아이들의 삶이 존재하는 모든 곳이 학교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한 그의 정책들은 어떻게 현실 속에서 역할을 해내게 될까. <더에듀>는 학생의 삶과 배움이 하나가 되는 교육으로 자기 주도형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김윤기 평택교육장을 지난 4월 23일 평택교육지원청 집무실에서 만나 그가 열
더에듀 | 1940년, 하버드대학교 연구팀은 2학년 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들은 먼저 참가자들의 지능, 성격, 경제적 배경 등을 조사한 후, 러닝머신에서 최대 속도로 5분간 달리게 했다. 실험이 끝난 후 학생들은 일상으로 돌아갔으나, 연구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연구팀은 졸업 후에도 2년마다 이들의 근황을 물어보며 40년간 추적 조사를 이어갔다. 그리고 이 학생들이 60대가 된 시점에 놀라운 사실을 발견한다. 이들이 수십 년간 겪은 직업적 성취도와 사회적 만족도는 지능이나 성격, 경제적 수준과 그게 비례하지 않았다. 그러나 딱 한 가지, ‘그릿(Grit⸱성공과 성취를 끌어내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는 투지 또는 열정적 끈기 )’ 점수에만 비례하였다. ‘그릿 점수’는 러닝머신 실험 당시 ‘체력의 한계가 닥칠 때 포기하지 않고 몇 발자국을 더 뛰었는가’를 바탕으로 매겨진 점수였다. 우리는 보통 성공을 결정짓는 요소로 IQ, 재능, 경제적 수준 등을 말한다. 하지만 하버드 연구팀에 따르면 이보다 더 중요한 성공 비결을 러닝머신에서 버텨낸 ‘그릿’이라고 지정했다. 바로 ‘열정적 끈기’를 말한다. 필자 주변에는 그릿이 강해 성공한 친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