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9 (수)

  • 맑음강릉 -0.4℃
  • 구름많음서울 1.1℃
  • 구름많음울릉도 0.2℃
  • 구름많음수원 1.1℃
  • 흐림청주 2.5℃
  • 구름많음대전 1.7℃
  • 맑음안동 0.6℃
  • 포항 2.8℃
  • 구름많음군산 2.0℃
  • 구름조금대구 2.7℃
  • 구름조금전주 1.9℃
  • 맑음울산 1.6℃
  • 맑음창원 2.7℃
  • 맑음광주 1.5℃
  • 맑음부산 3.2℃
  • 구름많음목포 2.3℃
  • 맑음고창 0.9℃
  • 흐림제주 4.5℃
  • 구름많음강화 0.8℃
  • 흐림보은 -0.6℃
  • 구름많음천안 1.8℃
  • 구름많음금산 0.8℃
  • 구름조금김해시 2.6℃
  • 맑음강진군 2.1℃
  • 맑음해남 2.2℃
  • 맑음광양시 1.2℃
  • 구름많음경주시 2.0℃
  • 맑음거제 2.8℃
기상청 제공
배너

사교육비 1% 늘면 출산율 최대 0.3%↓...둘째 이상 자녀 출산에 부정적 영향

 

더에듀 정지혜 기자 | 아이 한 명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1% 늘면 출산율이 최대 0.3%까지 줄어들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최근 대입 재수생이 늘고 사교육비 지출이 증가하며 출산율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됐다.

 

김태훈 경희대 경제학과 교수는 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가 연 제37회 인구포럼에서 ‘사교육비 지출 증가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했다.

 

김 교수는 2009∼2023년 사교육, 출산 데이터를 활용해 사교육비 지출과 합계출산율의 관계를 분석했다.

 

김 교수는 “전년도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1% 늘면 합계출산율이 약 0.192∼0.26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사교육비 증가는 둘째, 셋째 이상 자녀 출산에 훨씬 더 큰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그는 대입 재수생 비율의 상승에도 주목했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의 재수생 비율이 높고, 재수 기간 동안 사교육비 지출이 많은데, 실제 사교육비 지출이 과소 평가됐을 수 있다”며 “재수 입학으로 많은 젊은이의 사회 진출이 늦어짐에 따라 천문학적인 생산 감소와 사회적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재수생이 또 다른 재수생을 양산하면서 노동 시장 진입과 혼인이 늦춰져 미래 출산율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김 교수는 “공교육을 강화해 사교육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지만, 입시 사교육의 본질이 남들보다 1점이라도 더 받는 것이기 때문에 이런 주장에 회의적”이라며 “학원 교습비 조정 기준 등 이미 존재하는 규제를 강하게 적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배너
배너
좋아요 싫어요
좋아요
0명
0%
싫어요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