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7 (목)

  • 구름많음강릉 9.3℃
  • 맑음서울 5.8℃
  • 구름많음울릉도 10.7℃
  • 구름많음수원 6.6℃
  • 구름많음청주 6.9℃
  • 대전 7.0℃
  • 구름많음안동 5.9℃
  • 맑음포항 10.3℃
  • 구름많음군산 6.5℃
  • 구름많음대구 10.1℃
  • 구름조금전주 7.0℃
  • 맑음울산 10.7℃
  • 흐림창원 10.3℃
  • 맑음광주 8.4℃
  • 맑음부산 10.5℃
  • 목포 9.3℃
  • 맑음고창 7.7℃
  • 황사제주 12.0℃
  • 맑음강화 5.0℃
  • 구름조금보은 5.5℃
  • 구름많음천안 6.2℃
  • 흐림금산 5.9℃
  • 맑음김해시 10.1℃
  • 구름많음강진군 9.3℃
  • 구름많음해남 9.2℃
  • 구름많음광양시 8.2℃
  • 맑음경주시 10.0℃
  • 구름조금거제 10.0℃
기상청 제공

뉴스

전체기사 보기

이가영 교수 "교사는 AI의 출력결과 이해와 의미의 비판적 해석 역량 가져야"

26일 국가데이터처 등 개최 '실용 통계교육 컨퍼런스'서 주장

더에듀 지성배 기자 | 사회적으로 인공지능(AI)이 급부상하면서 교육계에서도 이를 어떻게 접목할 것인가가 큰 화두이다. 특히 교사의 AI 활용법에 대해서도 다각도의 논의가 이어지는 와중에, ‘해석’에 중점을 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가영 백석대 특수교육과 교수는 26일 국가데이터처 통계인재개발원과 대전교육청, 한국통계진흥원이 연 ‘2025 실용 통계교육 컨퍼런스’에 ‘AI와 디지털시대의 교사의 역량’을 주제로 한 발제에서 AI와의 협업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 같이 주장했다. 이 교수는 AI를 새로운 존재로 인정하고 공생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협업을 위한 교사의 역할로 ‘해석’을 제시했다. 그가 제시한 해석은 ‘AI 도구의 출력 결과를 이해하고 의미를 비판적으로 해석하는 역량’이다. 이 교수는 “AI가 제안한 내용을 맥락에 맞게 의미를 이해하고, 다양한 사람의 관점에서 AI의 출력 결과를 해석하고 토론하며 결론을 도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며 “AI추론 결과를 그대로 수용하기보다는 필요에 따라 수정하거나 보완해 활용할 필요성도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같은 수치를 보더라도 데이터 리터러시의 차이에 따라 다른 처방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가 방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