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구름많음강릉 14.2℃
  • 흐림서울 18.6℃
  • 박무울릉도 15.8℃
  • 흐림수원 20.3℃
  • 맑음청주 23.8℃
  • 구름조금대전 24.2℃
  • 구름조금안동 23.2℃
  • 구름조금포항 24.9℃
  • 구름많음군산 23.4℃
  • 구름많음대구 23.6℃
  • 구름많음전주 25.0℃
  • 구름많음울산 23.2℃
  • 구름많음창원 20.0℃
  • 구름많음광주 22.6℃
  • 구름많음부산 20.4℃
  • 구름많음목포 19.4℃
  • 구름많음고창 21.7℃
  • 구름많음제주 19.3℃
  • 구름많음강화 16.2℃
  • 구름조금보은 22.2℃
  • 구름많음천안 22.9℃
  • 맑음금산 25.6℃
  • 구름많음김해시 19.5℃
  • 구름많음강진군 20.2℃
  • 구름많음해남 21.1℃
  • 구름많음광양시 17.9℃
  • 구름조금경주시 25.1℃
  • 구름많음거제 18.7℃
기상청 제공

학술&연구

전체기사 보기

교직 개방 어디까지?...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 "AI·고교학점제 시대, 교원자격·양성 바꿔야"

지난 12일 춘계학술대회 개최 자격 체계 계열화·유연화, 다교과 전제한 교원 양성 필요

더에듀 정은수 객원기자 | 인공지능(AI) 등 산업 변화와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라 교원 양성, 표시과목 제도 등을 개선해 '교직 개방을 더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교원교육학회(회장 이수정 단국대 교수)는 지난 12일 서울교대에서 ‘교육환경 변화와 교원자격제도 개선 방안 탐색’을 주제로 춘계학술대회를 열어 이같은 교직개방 방안을 제시했다. 사회 변화에 따라 교원 자격 개방·유연화 필요 기조강연을 맡은 김성열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이사장은 학교가 개인과 국가발전의 핵심 기관으로 기능했고 그 바탕에는 우수 인력을 교원으로 확보하고 질 높은 교원 양성·연수 제도가 있었다는 점을 짚었다. 이어 사회 변화에 따라 학교 교육도 변할 수밖에 없고 이를 위해 시대에 맞는 교사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들이 시행된 사례로 비교과 교사 직렬 도입, 수석교사제 시행, 산학겸임교사제 시행 등을 들었다. 역대 정부의 사회 변화에 따른 교원 정책 변화도 짚었다. 문민정부는 교직의 개방화·다양화를 교육개혁 방안에 담았고, 국민의 정부는 초빙 및 계약제 임용을 통한 전문적 직업경력을 가진 인력의 교직 진출을 도모했다. 참여정부는 희소 교과 지도를 위한 전문 인력 호라용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