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지성배 기자 | 최근 한 어린이집 교사가 인터넷 카페에 올린 ‘우천시’ 논란이 뜨겁다. ‘우천시 장소를 변경한다’는 교사의 안내에, 학부모가 전화를 해 ‘우천시가 어디냐’고 물어 당황했다는 내용으로 학부모의 문해력 논란으로 번졌다. 그간 사생대회를 ‘죽기살기 대회’로, 금일을 ‘금요일’로, 십분 이해한다는 표현을 ‘십분 동안’만 이해한다로, 고지식한 분이다를 ‘지식이 높은 분’이라는 식으로 해석하는 등 또 다른 다양한 논란을 보아 왔다. 지난해에는 ‘사흘’을 4일로 인식하는 일도, 또 그전에는 ‘심심한 사과’라는 표현에 사과의 진정성이 없다는 비판을 제기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다. 이 같은 언어 사용의 차이는 역사적인 배경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데다 앞으로 더 확대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 2023년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일상어 중 한자어의 비율은 33% 수준이며, 전문어 중에는 59%에 이른다. 역사적으로 한자어가 본격적으로 우리의 언어생활에 활용된 것은 고조선이 한나라에 멸망 당한 기원전 108년 이후로 추정된다. 이후 한자어는 강력한 중앙집권체제의 도구이자 선진문물의 유입 매개체로 역할을 했으며 한글
더에듀 지성배 기자·김우영 수습기자 | 유아 학부모가 ‘우천시’의 의미를 몰라 답답하다는 내용의 글이 인터넷 커뮤니티에 게재돼 논란이다.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요새 아이 부모들 너무 멍청하다’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9년 차 어린이집 교사라고 소개한 글쓴이 A씨는 “9년 전에 비해 학부모들이 너무 멍청해졌다”며 “저도 그렇게 학벌 좋은 사람은 아니지만 요즘 사람들은 해도 해도 너무한데 심지어 고집도 세고 말은 더욱 안 통한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A씨가 글까지 올린 이유는 학부모들이 단어의 뜻을 모르는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이다. 그는 “보통‘OO을 금합니다’라고 하면 당연히 금지한다는 얘기지 않느냐”며 “근데 ‘금’이 좋은 건 줄 알고 ‘OO을 하면 제일 좋다’고 알아 듣는다”고 했다. 또 “‘우천 시에 OO으로 장소 변경한다고 공지를 하면 ‘우천시’라는 지역에 있는 OO의 장소로 바꾸는 거냐고 물어보는 분들도 계신다”고 해 누리꾼들이 놀랍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히 A씨는 “섭취, 일괄, 급여 이런 말을 어떻게 모를 수가 있냐”며 “예전에는 이런 내용으로 연락 오는 부모님이 한 분도 안 계셨는데 요새는 비율이 꽤 늘었다”고 밝혔다. 이에 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