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에듀 정지혜 기자 | 영유아기 사교육 참여율이 높아지는 추세지만,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은 학업수행능력에 효과가 없거나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은영 육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15일 교육부 직원을 대상으로 한 ‘영유아 사교육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에서 이러한 내용의 실증 연구 결과를 공개한다.
김 위원이 연구책임을 맡은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과 발달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영유아 사교육의 시작 연령은 점차 낮아지고 비용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이 단기적으로 혹은 초등학교 1학년 시기의 전반적인 언어능력, 문제해결력, 집행기능(일련의 행동에 대한 인지처리 과정)과는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 등 사회 정서적 측면에서는 사교육의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이 관찰됐다.
김은영 선임연구위원은 “영유아기 사교육 참여율이 높아지는 추세지만, 아동의 지능지수, 가구 소득, 부모 학력 등 다양한 변수를 통제했음에도 사교육의 독립적 효과는 없거나 미미했다”며 “영유아기 사교육 참여는 단기적·중장기적으로 실질적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과도한 사교육은 놀이와 휴식 시간을 감소시켜 오히려 아동의 전인적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영유아 발달에 적합한 양육·교육 방법 등에 관해 전문적이고 정확한 정보 제공을 위한 온라인 콘텐츠 제작·송출 등으로 영유아 사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해 나가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