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주취논객] ⑪아직 논쟁 중인 ‘수학의 과학’
더에듀 | 학문의 세계는 끊임없이 연구 결과를 내놓는다. 평생 배우는 전문직이자 평생학습의 모범이 되어야 할 교육자가 이런 연구를 계속 접하면 좋겠지만, 매일의 업무로 바쁜 일상에서 현실적으로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런 독자를 위해 주말 취미가 논문인 객원기자, 주취논객이 격주로 흥미롭고, 재미있고, 때로는 도발적인 시사점이 있는 연구를 주관적 칼럼을 통해 소개한다. ‘읽기의 과학(Science of Reading)’ 이야기를 했으니 ‘수학의 과학(Science of Math)’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 없다. 앞선 회와 마찬가지로 중학교 수학 교사라서 이 얘기를 하는 건 아니다. 어디까지나 스스로 정체성은 부전공인 역사고, 주전공도 수학이 아닌 미술이다. 수학 교육은 문해 교육보다는 쉽게 느껴지지만, 그렇다고 깊이 관심이 있는 분야는 아니다. 그런데도 이번에 또 이야기하는 것은, 지금 이 시대 교육 패러다임의 흐름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2020년대는 학생이 맥락 속에서 직접 지식을 구성하는 사회구성주의가 효과적이냐 아니면 직접 교수를 통해 한발 한발 걸음을 알려주는 직접 교수가 효과적이냐 하는 힘겨루기의 한가운데 있는 순간이기 때문이다. 이름의 유
- 정은수 객원기자
- 2025-10-25 1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