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지성배 기자 | 대선 도전이 유력시되는 홍준표 대구시장이 수시 폐지와 수능 연 2회 실시를 주장했다. 사실상 대선 아젠다로 던진 것으로 풀이된다. 홍 시장은 지난 6일 자신의 SNS를 통해 “대입시에서 수능 기준 선발은 18.5%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수백가지 정성평가”라며 “각 대학에서 자율적으로 이뤄지는 현 입시제도는 불합리할 뿐만 아니라 부정과 특혜 입학 소지가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인생의 출발점부터 부정이 난무한다면 얼마나 많은 청춘이 절망하고 세상을 원망할까”라며 “입시제도를 바꿔야 한다. 누구라도 납득할 수 있는 객관적인 방법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가 제시한 대안은 수시 폐지와 수능 연 2회 실시이다. 또 2회 중 좋은 점수로 대학 정시를 통해 입시에 응하는 방식이다. 홍 시장은 “고교는 평준화하면서 왜 입시제도는 부정이 난무하도록 방치하냐”며 “수능시험 출제는 EBS 강좌에서 80% 이상 출제하도록 해 산골학생들도 EBS만 열심히 공부하면 어느 대학이라도 갈수 있게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상류층의 자제들만 일류대학에 들어가는 현 입시제도는 음서제도(蔭敍制度)에 불과한 신분의 대물림”이라며 “2024년 SKY 입학생 중
더에듀 정지혜 기자 | 올해 고등학교 3학년이 치르게 될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오는 11월 14일 시행된다. 특히 이번 수능은 의대 열풍으로 인한 N수생 증가가 예고돼 있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달 30일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 세부계획’을 30일 공고했다. 올해 수능은 2025학년도 의과대학 정원 모집 인원이 1509명 늘어나 N수생이 얼마나 늘어날지 또 N수생의 증가가 난이도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지 여부에 시선이 쏠린다. 입시업계에서는 N수생이 증가로 문제가 어렵게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올해 수능 시험 영역은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탐구(사회·과학·직업), 제2외국어/한문 영역으로 작년과 동일하다. 2022학년도 수능부터 도입된 시험 체제에 따라 국어・수학・직업탐구 영역은 ‘공통과목+선택과목’구조를 적용한다. 수험생들은 국어에서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하나를 선택하고, 수학에서는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 하나를 골라 응시한다. 사회・과학탐구 영역은 사회・과학 구분 없이 17개 선택과목 중에서 최대 2개 과목을, 직업 탐구 영역에선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