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5 (토)

  • 맑음강릉 8.4℃
  • 흐림서울 9.6℃
  • 맑음울릉도 8.5℃
  • 구름많음수원 6.7℃
  • 구름조금청주 10.4℃
  • 구름조금대전 9.3℃
  • 맑음안동 10.8℃
  • 구름많음포항 10.8℃
  • 구름많음군산 6.9℃
  • 구름많음대구 11.3℃
  • 구름많음전주 8.8℃
  • 구름많음울산 8.8℃
  • 구름많음창원 8.6℃
  • 흐림광주 10.4℃
  • 구름많음부산 10.9℃
  • 흐림목포 9.4℃
  • 흐림고창 5.9℃
  • 흐림제주 10.2℃
  • 흐림강화 6.4℃
  • 맑음보은 6.9℃
  • 구름조금천안 6.7℃
  • 구름조금금산 7.5℃
  • 구름많음김해시 9.6℃
  • 흐림강진군 9.1℃
  • 흐림해남 7.6℃
  • 구름많음광양시 9.0℃
  • 구름많음경주시 7.9℃
  • 구름많음거제 10.0℃
기상청 제공
배너

"족보는 족발보쌈세트, 두발은 두 다리?"...아이들 문해력 어쩌나

교총, 전국 초중고 교원 5848명 참여 '학생 문해력 실태 인식조사' 결과 발표

 

더에듀 지성배 기자 | “족보를 족발보쌈세트로 알아요.”, “두발이 두 다리인 줄 알았대요.”, “이부자리를 별자리로 생각합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전국 초중고 교원 584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생 문해력 실태 인식조사’ 결과, 이 같은 답변이 나와 학생들의 문해력 저하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평가됐다.

 

실제 설문에 참여한 교원들이 서술형 답안에 남긴 사례에는 ▲금일을 금요일로 착각 ▲사건의 시발점이라고 했더니 선생님이 욕하냐고 말함 ▲체험학습 중식 안내를 보고 짜장면 먹냐고 물음 등이 나왔다.

 

이 같은 상황에 교사들의 91.8%(저하 53%, 매우 저하 39%)는 학생들의 문해력이 과거에 비해 저하됐다고 답했다.

 

특히 해당 학년 수준 대비 문해력이 부족한 학생이 21% 이상이라고 답한 교원은 46.6%, 어려운 단어나 한자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고 답한 교원은 67.1%에 달했다.

 

또 도움 없이 교과서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는 답변에 30.4%가 그렇다고 했으며, 문제를 이해하지 못해 시험을 치기 곤란한 학생이 21% 이상이라는 답변도 21.4%로 나왔다.

 

교사들은 문해력 저하 원인으로 ▲스마트폰, 게임 등 디지털매체 과사용(36.5%)을 1순위로 꼽았다. 이어 ▲독서 부족(29.2%) ▲어휘력 부족(17.1%) ▲기본 개념 등 지식 습득 교육 부족(13.1%) 순으로 나타났다.

 

학생 문해력 개선을 위해 ▲독서활동 강화(32.4%)를 가장 많이 선택했으며 이어 ▲어휘 교육 강화(22.6%) ▲디지털매체 활용 습관 개선(20.2%) ▲토론‧글쓰기 등 비판적 사고 및 표현력 교육 강화(11.4%)를 꼽았다.

 

이 밖에 ▲교원들의 94.3%는 디지털기기 보급으로 학생들의 필체 가독성이 나빠졌다고 응답했다.

 

교총은 “학생들이 다른 사람 도움 없이 교과서를 이해하지 못하고 시험 치기도 곤란한 현실은 정말 심각한 문제”라며 “문해력 저하는 학습 능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대인 관계와 향후 성인이 된 이후 사회생활에도 부정적 영향과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나라의 전체 문맹률은 1~2%대로 매우 낮다고 하지만 이것이 문해력이 높다는 것으로 착각해서는 안 된다”며 “학생 문해력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진단‧분석부터 시작하고, 디지털기기 과의존‧과사용 문제를 해소하는 법‧제도 마련 및 독서, 글쓰기 활동 등을 강화하는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
좋아요 싫어요
좋아요
1명
100%
싫어요
0명
0%

총 1명 참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