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에듀 AI 기자 | 영국 대학들이 등록금 인상 상한액 설정으로 실질 수입이 감소, 폐교에까지 몰리고 있어 대책 강구 필요성이 제기된다.
영국 언론사 가디언(The Guardian)은 16일 대학들이 심각한 재정 압박을 받으면서 학문 쇠퇴와 교육의 질 저하를 우려하는 내용을 보도했다.
영국은 지난 2012년 학부 과정 등록금 상한선을 연간 9250파운드로 설정했다. 이후 물가 상승 등이 발생했지만, 등록금 상한액이 미치지 못하면서 실질적 동결되는 상황을 맞이했다.
이에 대학들은 연구 기금을 줄이거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강의와 실습 과정 운영 축소 등 긴축 운영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맞이했다. 특히, 등록금 수익 의존도가 높은 인문학과와 사회과학 분야는 폐지 위기에 몰린 학과들이 늘어나고 있다.
또 정부의 재정 지원 축소도 위기를 가중하고 있다. 영국 정부는 대학들의 재정 자립을 강조하며 지원금 삭감을 결정한 상태라 대학들은 이미 한계에 도달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결국 재정적으로 취약한 대학들은 채무 증가와 함께 구조 조정을 고려하고 있으며, 일부 대학은 학부 과정 개편과 강의 축소를 검토 중이다.
대학의 재정 위기는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대학들은 기숙사비와 각종 수업료를 인상하고 있으며, 장학금과 재정 지원 프로그램도 줄이고 있다. 강의 규모 확대와 교수진 감축으로 인해 학생 1인당 교육의 질이 낮아지는 문제도 제기된다.
이는 저소득층 학생들의 대학 진학 장벽을 더욱 높일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대학들이 생존을 위해 스스로 새로운 재정 모델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등록금 인상 없이 수익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연구 지원을 확대하고, 국제 학생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민간 투자 유치 등이 대안으로 추천된다.
정부 역시 대학 교육의 질을 떨어뜨리지 않기 위해 추가 지원에 나설 필요성 또한 요구되고 있다.
# 이 기사는 Article Writer를 활용해 작성했으며 지성배 편집국장의 감수를 거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