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지성배 기자 | 김병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가 한국교육학회 제48대 회장으로 당선됐다. 한국교육학회는 제48대 회장으로 당선된 김 교수는 오는 2025년부터 2026년까지 한국교육학회 수석부회장을 맡게 되며, 2027년부터 2028년까지 2년간 한국교육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게 된다고 13일 밝혔다. 김병찬 교수는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중등임용고사출제위원,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전문위원, 교육과학기술부 교원양성기관 평가위원 등으로 활동하면서 교육 발전에 봉사했다. 한국교육정치학회 회장(2023), 한국교원교육학회 부회장(2022~2024)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위원장(2016), 한국교육학회 부회장·학술위원장(2023~2024) 등을 지냈다. 한편, 한국교육학회는 교육학의 연구와 관련 활동을 통해 회원의 자질 향상과 학문적 발전을 도모하는 단체로, 1953년 설립됐다. 대학교수를 포함한 교육학자 및 교사, 교육 관련기관 종사자 등 현재 6000여명이 참여하고, 26개의 분과학회와 10개의 지회를 지니고 있는 국내 교육학계를 총괄하는 대표 학회이다.
더에듀 정지혜 기자 | 김동일 서울대 교수와 김병찬 경희대 교수가 한국교육학회 제47대 선임부회장 선거에 출사표를 던졌다. 한국교육학회는 오는 28~29일, 제48대 회장(2027~2028)을 맡을 제47대 선임부회장 선거를 진행한다. 투표는 온라인으로 진행하며 최근 2년 회비 납부 회원에게 투표권이 주어진다. 이번 선임부회장 선거에는 (가나다 순) 김동일 서울대 교수와 김병찬 경희대 교수가 출마했다. 김동일 후보는 서울대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경인교대 교육학과 교수, 한국학습장애학회 회장, 국가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 서울대 교육행정연수원 원장, 한국교육심리학회 회장,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회장, 서울대 대학생활문화원 원장 등을 지냈다. 현재 서울교육청의 학습부진대책 자문위원회를 맡고 있다. 그는 학회 회장·분과 학회 창립 등의 학회 경험과 정부 부처와 국무조정실의 정책 위원·교육청 자문 위원 등의 풍부한 행정 경험을 갖고 있다. 김 후보는 “학문적 정체성과 이론적 정교성을 지향하기 위한 굳건한 토대를 마련하고,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하는 창을 확대하며, 공진화(共進化) 학문 공동체를 이루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병찬 후보는
더에듀 정지혜 기자 | 한국교육학회가 2024 연차학술대회를 열었다. 이번 학술대회는 ‘한국 교육학의 미래 방향과 좌표: 한국 교육학 70년 미래 설계’라는 주제로, 앞으로 우리나라 교육 연구 방향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더에듀>는 학회에서 발표된 유아·초등·중등·고등교육 분야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살펴 봤다. 고등교육 분야 연구의 미래 방향에 대해서는 이길재 충북대학교 교수가 발표자로 나섰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 고등교육 연구의 미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국내외 고등교육 연구의 동향과 고등교육 정책의 동향, 그리고 고등교육의 현황을 분석했다. 그는 “미국이나 주요 선진 주요국에 비해 우리나라 고등교육 분야에 관한 연구가 미진하다”며 그 이유로 고등교육 연구만을 다루는 학문적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을 꼽았다. 학문적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교육학의 여러 학술지에 흩어져 있는 연구 문헌을 포괄적으로 수집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이 교수는 고등교육 분야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학술단체의 미흡은 고등교육 연구의 체계적 수행에 근본적인 한계로 작용하는 원인이라고 꼬집었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는 고등교육 분야
더에듀 정지혜 기자 | 한국교육학회가 2024 연차학술대회를 열었다. 이번 학술대회는 ‘한국 교육학의 미래 방향과 좌표: 한국 교육학 70년 미래 설계’라는 주제로, 앞으로 우리나라 교육 연구 방향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더에듀>는 학회에서 발표된 유아·초등·중등·고등교육 분야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살펴 봤다. ‘배움은 출생과 더불어 시작된다’ 유엔의 아동권리현장에 나오는 말처럼 유아교육은 영유아의 권리이자 평생학습의 출발점이 된다. 유아교육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해 발표를 맡은 이정욱 덕성여자대학교 교수는 유아교육이 학습 잠재력과 발달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하며 발표를 시작했다. 그는 “유아교육이 전체 교육 기간을 통틀어서 투자 대비 편익이 가장 크다”는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헤크만(Heckman)의 연구를 인용하며 유아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했다. 이 교수는 “국가는 이러한 연구 결과로 유아교육정책에 주목하게 됐다”며 “최근에는 교육과 돌봄의 이원화에서 교육 중심으로의 통합이 국제적 추세가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육과 돌봄은 서로 얽혀 있다. 유아가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와 함께 보내는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