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0 (금)

  • 흐림강릉 25.6℃
  • 흐림서울 30.1℃
  • 흐림울릉도 27.0℃
  • 흐림수원 28.7℃
  • 흐림청주 ℃
  • 흐림대전 29.3℃
  • 구름많음안동 26.7℃
  • 구름많음포항 28.9℃
  • 구름많음군산 30.4℃
  • 흐림대구 30.5℃
  • 구름많음전주 30.4℃
  • 구름많음울산 27.2℃
  • 맑음창원 28.4℃
  • 구름많음광주 30.9℃
  • 구름조금부산 28.9℃
  • 목포 28.0℃
  • 구름조금고창 30.2℃
  • 제주 26.8℃
  • 구름많음강화 25.6℃
  • 구름많음보은 26.7℃
  • 흐림천안 27.4℃
  • 구름많음금산 25.5℃
  • 맑음김해시 29.0℃
  • 흐림강진군 25.0℃
  • 흐림해남 25.0℃
  • 구름조금광양시 30.0℃
  • 구름많음경주시 27.9℃
  • 구름조금거제 28.2℃
기상청 제공
배너

[우리나라 교육 연구의 미래] ④고등교육...연구 주제·방법 불균형..."학문적 공동체 결성해야"

이길재 충북대 교수, 한국교육학회 2024 연차학술대회서 발제

더에듀 정지혜 기자 | 한국교육학회가 2024 연차학술대회를 열었다. 이번 학술대회는 ‘한국 교육학의 미래 방향과 좌표: 한국 교육학 70년 미래 설계’라는 주제로, 앞으로 우리나라 교육 연구 방향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더에듀>는 학회에서 발표된 유아·초등·중등·고등교육 분야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살펴 봤다.

 

 

고등교육 분야 연구의 미래 방향에 대해서는 이길재 충북대학교 교수가 발표자로 나섰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 고등교육 연구의 미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국내외 고등교육 연구의 동향과 고등교육 정책의 동향, 그리고 고등교육의 현황을 분석했다.

 

그는 “미국이나 주요 선진 주요국에 비해 우리나라 고등교육 분야에 관한 연구가 미진하다”며 그 이유로 고등교육 연구만을 다루는 학문적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을 꼽았다.

 

학문적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교육학의 여러 학술지에 흩어져 있는 연구 문헌을 포괄적으로 수집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이 교수는 고등교육 분야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학술단체의 미흡은 고등교육 연구의 체계적 수행에 근본적인 한계로 작용하는 원인이라고 꼬집었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는 고등교육 분야 연구는 고등교육 현상에 대한 총체적 이해보다는 교육학의 하위 분과 학문별 연구자들이 개별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학문적 연구의 맥락에서 하나의 소재 수준으로 연구를 수행한다”고 국내 고등교육 연구 동향을 설명했다.

 

이어 “교육행정이라는 포괄적인 분과 학문의 맥락에서 일부 연구자들이 고등교육과 유·초·중등교육을 함께 연구하는 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이제는 지방대학 시대’... 고등교육 현황은?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는 대학의 입학 자원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지난 10년간 대학 평가를 통해 대학의 구조조정을 시도했으나 2021년을 기점으로 지방대학의 미충원이 심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정책을 수립하고 2023년∼2024년까지 시범지역 운영을 거쳐 2025년에는 전 지역에 도입하는 계획을 발표하고 추진 중이다.

 

RISE 체제 전환의 핵심은 재정 지원 방식을 분권화하고, 고등교육 거버넌스 구조의 혁신이다.

 

아울러 교육부는 2023년 13조 5135억원에서 2024년 14조 2947억원으로 예산을 늘렸다. 예산편성 기조는 현 정부의 고등교육 국정과제 중 가장 주목되는 ‘이제는 지방대학 시대’에서 밝히는 것처럼 증액되고 있다.


학문적 공동체 결성·연구 주제 다양화 필요


이 교수는 고등교육 연구가 방안 탐색과 정책 연구에서 벗어나 기초이론에 대한 연구에 나서기 위해서는 ‘학문적 공동체 결성’의 필요성을 제언했다.

 

고등교육의 현상에 대한 문제 제기부터 시작해 해당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모델을 구성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연구는 단일 연구자가 수행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또 이 교수는 연구주제를 다양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반적으로 우리나라 고등교육 관련 연구는 재정과 정책 관련 연구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행정학회 학술지 논문 분석 결과, 62%의 논문이 고등교육 재정과 고등교육체제와 운영 등 고등교육 제도와 정책 관련 주제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학 분야 31개 학술지 논문 분석 결과 역시 조직·행정·거버넌스, 재정·경제·시설 등에 연구 비중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교직원 인사 및 문화, 국제화·세계화 등에 관한 연구는 저조했다.

 

이와 함께 연구 방법의 불균형을 지적했다.

 

최근 연구 논문 분석 결과 636편 중 양적연구는 46.4%(295편), 문헌연구 22.3%(142편)이었고, 질적연구가 19.3%(123편)으로 문헌연구와 양적 연구 방법에 편중되어 있었다.

 

아울러 이 교수는 앞서 말한 과제를 수행하기 전에 “먼저 개인을 추적할 수 있는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의 경우 1993년부터 National Student Clearinghouse라는 비영리조직을 설립해 학생들이 어느 기관으로 이동하더라도 추적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고등교육에 대한 이해와 정책 수립을 위해 폭넓게 활용하고 있다”며 효과적인 정책 수립을 위해서 데이터 생태계 구축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끝>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