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3 (월)

  • 맑음강릉 -1.0℃
  • 맑음서울 -4.4℃
  • 울릉도 -0.7℃
  • 맑음수원 -4.1℃
  • 구름조금청주 -3.1℃
  • 구름조금대전 -2.7℃
  • 맑음안동 -2.6℃
  • 맑음포항 0.1℃
  • 구름조금군산 -2.2℃
  • 맑음대구 -0.8℃
  • 구름조금전주 -1.5℃
  • 맑음울산 -0.3℃
  • 맑음창원 0.9℃
  • 구름많음광주 -1.8℃
  • 맑음부산 1.6℃
  • 목포 -2.2℃
  • 구름많음고창 -3.5℃
  • 제주 3.2℃
  • 맑음강화 -5.8℃
  • 맑음보은 -3.7℃
  • 구름많음천안 -3.6℃
  • 맑음금산 -2.7℃
  • 맑음김해시 0.5℃
  • 구름많음강진군 -0.5℃
  • 구름많음해남 -0.9℃
  • 맑음광양시 -0.9℃
  • 맑음경주시 -0.6℃
  • 맑음거제 1.3℃
기상청 제공
배너

학령인구 감소에도 사교육비는 급증...소득 높을수록 사교육비 투입 비용도 ↑

 

더에듀 정지혜 기자 |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으로 학령인구가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교육비는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에 따르면 2023년 국내 초중고 학생 중 79%가 사교육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명 중 네 명이 사교육을 받은 셈이다. 초중고 사교육비 총액은 27조원으로 2015년 18조원이었던 것에 비해 8년 만에 50% 가까이 늘었다.

 

반면 초중고 학생 수는 같은 기간 609만명에서 521만명으로 15%가량 줄었다. 학령인구 감소로 학생 수가 계속 줄어들고 있음에도 사교육 시장 규모는 커지고 있는 것이다.

 

2017년 38만원이었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도 6년 만에 45% 급증했다.

 

소득이 올라갈수록 사교육비에 투입하는 비용도 늘었다. 월평균 소득이 800만원 이상인 가구의 1인당 사교육비 지출은 300만원 미만인 가구의 3.7 배에 달했다.

 

지역별로 보면 사교육비를 가장 많이 쓰는 곳은 서울이다. 학생 1인당 사교육비 지출이 2023년 기준으로 월 74만원이다. 

 

사교육비 부담은 설문조사에서도 드러난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 지난해 11월 전국 학부모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진행한 사교육 인식조사 결과, 사교육비에 대해 ‘부담을 느낀다’고 응답한 비율은 총 58%(매우 부담 17.0%, 부담 41.0%)를 차지했다. 특히 고등학생 부모 2명 중 1명은 노후 대비 자금을 사교육비로 지출하고 있었다.

 

사걱세는 “학부모들이 사교육비 상승 원인으로 압도적으로 상대평가를, 사교육비 경감 대책으로는 경쟁 위주의 대입제도 개선을 꼽았다”며 “상대평가와 대입제도를 개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좋아요 싫어요
좋아요
0명
0%
싫어요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