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에듀 정지혜 기자 | 충남과 인천, 제주 등 교육청들이 앞다퉈 특수학급 증설 등 특수교육 환경 개선에 나서고 있어 주목된다. 지난해 인천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특수교사 사건에 대응해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충남교육청 “학생 중심으로 촘촘하게 지원할 것”
충남교육청은 18일 특수학급 63개 증설 등의 내용을 담은 ‘2025년 특수교육 운영 계획과 주요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특수교육 운영 계획에 따르면, 특수학급 과밀학급 해소를 위해서 시간제 기간제 교사 지원을 확대한다.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온수업 어울림마당’과 ‘찾아가는 전문가 수업코칭’도 운영될 예정이다.
또 특수학교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라 특수학교 진로 전담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를 연 1회 이상 실시하고, 장애학생의 취업지원을 위해 취업지원관을 배치한다.
이와 함께 충남교육청은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함께하는 ‘정다운학교’도 12개교에서 25개교로 확대한다.
2027년에는 천안·아산 지역에 특수학교 ‘한여울학교’ 개교를 추친 중이며, 같은 해 7월에는 충남교육청 특수교육원 설립을 추친하고 있다.
충남교육청은 “이러한 변화는 장애학생의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특수교육의 질을 한층 높이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모두가 존중받는 맞춤형 충남 특수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 밝혔다.
인천교육청 특수교육 개선안 최종 합의, 제주교육청 특수교육 인력 보강
인천교육청은 7개 교원단체, 2개 장애인 단체 등 15개 단체가 참여한 가운데 ‘인천 특수교육 개선 9대 개선과제‧33대 세부과제’에 최종 합의했다.
합의안에 따라 앞으로 인천교육청은 특수학급 설치 기준 초과 시 즉시 개설을 추진하며, 신설‧개축 학교에는 특수학급 의무 설치를 적용할 방침이다.
아울러 인천교육청은 교원 및 장애인 단체들과 특수 학급 과밀 문제 해소 등의 내용을 담은 특수교육 개선책을 합의하고, 19일 공동 합의문 서명식을 진행한다.
한편, 제주교육청도 지난해 17명의 특수교사를 신규 채용하고 65명의 기간제 교사를 확보했다. 또 22명의 특수교육 실무원을 증원하고, 3학급 이상 특수학급 보유 학교에는 관련 보직교사 배치를 추진하는 등 특수교육 인력 보강에 나선 바 있다.
정원화 전국특수교사노동조합 대변인은 “충남은 신도시 중심으로 과밀 학급이 발생하고 있는데, 학급 증설이 반드시 필요했다”며 “교육청에서 학급 증설에 적극적으로 나서 다행”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수학급 신증설을 단일학교에 맡겨 놓는 것이 아니라 교육청에서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데 의미가 있다”며 “현장에 잘 정착 될 때까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