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지성배 기자 | 울산특수교육연구원 설립이 교육부 중앙투자심사를 통과, 울산 내 장애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육 서비스 제공이 기대되고 있다. 울산교육청은 (가칭)울산특수교육연구원 설립 사업이 지난 23일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위원회를 통과했다고 31일 밝혔다. 울산특수교육연구원은 2028년 9월 개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총 사업비는 439억 6000여만원으로 중구 성안동 822지에 면적 5594㎡,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설립할 예정이다. 1층은 장애인식 개선과 공감 문화 형성을 돕는 공간, 2층은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진로직업교육을 강화하고, 잠재력을 개발해 다양한 재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간으로 구성됐다. 3층은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원활히 적응하고 또래 친구들과 어울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간, 4층은 특수교육 교원들의 전문성 신장을 지원하는 연수와 연구 공간으로 꾸며진다. 울산교육청은 울산특수교육연구원과 교육지원청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 분담을 명확히 해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할 방침이다. 천창수 울산교육감은 “지역 내 교육·복지 연결망의 중심 거점 역할을 담당하며, 장애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
더에듀 김우영 수습기자 | 울산교육청이 2014년부터 10년 연속 전국 시도교육청 중에서 가장 낮은 학업중단율을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교육부가 최근 발표한 ‘2024년 교육기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지역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중단율은 0.64%, 부적응사유 학업중단율은 0.37%로 전국 최저 수준이다. 이는 전국 평균 학업중단율(1.05%)과 부적응사유 학업중단율(0.58%) 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다. ‘부적응사유 학업중단율’은 전체 학업 중단 학생 수에서 질병과 해외출국(유예, 면제), 학력미인정 대안교육기관 학생 수를 제외한 ‘학교 부적응’ 사유의 학업중단 학생 수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고등학교 학업중단율 또한 전국 평균 학업중단율 2.03%보다 0.62%P가 낮은 1.41%로 전국 최저를 기록했다. 울산 학생들의 학업중단 사유로 초‧중학교는 해외 출국(231명), 기타(53명), 미인정 유학(37명) 등의 순으로 많았고, 고등학교는 기타(292명), 부적응(65명), 해외 출국(30명), 질병(25명) 등의 순으로 많았다. 이중 기타(292명)는 검정고시, 해외 이주, 취업 등의 사유가 많았다. 울산교육청은 학업 중단을 예방하고자 단위 학교와 관
더에듀 정지혜 기자·김우영 수습기자 | 울산교육청은 울산다운2 공공주택지구 내 설립을 추진하는 ‘서사중학교 신설(가칭)’ 건이 교육부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했다고 1일 밝혔다. 교육부는 중앙투자심사위원회를 30일에 열고 울산교육청이 제출한 서사중학교 신설 사업을 최종 승인했다. 울주군 법서읍 서사리 252 일원에 33학급(일반 30학급, 특수 3학급), 연면적 1만 3,009.52㎡ 규모로 교육부는 서사중학교를 짓는다. 중투위는 개교할 때까지 개발사업지구와 인근 지역 학생을 원활하게 배치하도록 태화·다운학교군을 분리해 신설할 것을 제시했다. 태화·다운학교군은 △다운중 △유곡중 △제일중 △학성여중이 있다. 교육부는 신설교부금으로 250여억 원을 지원해 사업비 442억 9000여만 원을 들여 2028년 3월 개교할 계획이다. 학교 용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무상으로 공급한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울산다운2 공공주택지구 내 중학교 신설을 차질 없이 진행해 공동주택에 입주하는 학생들이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교육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울산다운2 공공주택지구는 범서읍 서사리와 중구 다운동 일원에 1만 2,456세대 규모로 개발사업이 진행돼
더에듀 정지혜 기자 | 울산교육정책연구소는 ‘청소년 철학 캠프’를 1일부터 3일 울산교육정보연구원 내 박상진홀과 울산교원연구지원센터에서 진행한다. 이번 캠프는 울산교육정책연구소 ‘수업실행 연구형 팀’이 연구하고 개발한 수업을 학생들에게 시연하고자 마련됐다. ‘수업실행 연구형 팀’은 ‘질문이 있는 수업’을 과제로 삼아 직접 연구한 수업 활동을 수업 과정으로 연계해 희망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한다. 먼저 ‘우리는 올바르게 살고 있을까요?’라는 주제로 철학적 토론과 과제(프로젝트)를 ‘청소년 철학 캠프’에서 선보인다. 캠프는 참가 정원 48명(초등 16명, 중등 16명, 고등 16명)에 240명이 지원하는 등 학생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3일 동안 캠프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우리는 스스로 설 수 있는가?’, ‘공정한 시험’ 등 철학적 탐구활동을 하고, 철학적 사유가 녹아있는 표현활동을 팀별로 준비해 연극, 뮤지컬 등으로 직접 표현한다. 특히 이번 캠프는 방학을 맞이한 울산 관내 교원들도 참관할 수 있도록 해 철학적 질문이 있는 녹아있는 수업의 운영 등 교육현장에 수업 연구의 기회를 제공한다. 한편, 울산교육정책연구소는 교육 현장 중심의 정책 연구와 개발을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