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08 (수)

  • 맑음강릉 1.6℃
  • 구름많음서울 0.0℃
  • 구름많음울릉도 0.5℃
  • 구름조금수원 0.9℃
  • 청주 0.4℃
  • 맑음대전 1.2℃
  • 구름조금안동 0.8℃
  • 맑음포항 3.8℃
  • 맑음군산 0.9℃
  • 흐림대구 2.7℃
  • 구름많음전주 1.3℃
  • 구름조금울산 3.6℃
  • 구름조금창원 4.2℃
  • 광주 1.0℃
  • 구름많음부산 4.1℃
  • 구름많음목포 4.2℃
  • 구름조금고창 0.0℃
  • 제주 7.2℃
  • 구름많음강화 -0.7℃
  • 구름많음보은 -0.5℃
  • 구름많음천안 0.9℃
  • 흐림금산 -0.2℃
  • 구름많음김해시 3.7℃
  • 구름많음강진군 3.5℃
  • 구름많음해남 5.9℃
  • 구름많음광양시 2.2℃
  • 구름많음경주시 3.3℃
  • 구름조금거제 3.5℃
기상청 제공
배너

[사이버불링, 잠시만요!] 누구나 가해자가 될 수 있다

더에듀 | 정부와 학교 차원에서 오랜 세월 사이버불링 예방 교육과 캠페인이 이루어졌으나, 혐오사회, 혐오경제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심각해지고 있다. 새로운 디지털 기술이 도입될 때마다 몰카, 딥페이크 등 신종 사이버불링 수법이 등장하고, 사회 변화에 따라 사이버불링의 개념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에 디지털리터러시협회(CDL)와 구글은 2023년부터 사이버불링 문제를 재조명하고 해법을 제시하기 위해 '잠시만요 캠페인'을 개시했다.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이 참여해 캠페인 영상을 만들어 사이버불링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를 돕고, 교육 콘텐츠를 개발해 학교에 보급하고 학교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더에듀>는 박일준 '디지털리터러시협회' 회장을 통해 교육자와 교육 행정가들이 알아야 할 사이버불링의 위험성을 안내하며 '잠시만요 캠페인'의 성과와 실천 방안을 공유로 예방 활동 및 인식 확산에 나서고자 한다.

 

 

오늘날 인터넷은 우리 삶의 일부를 넘어 필수적인 소통 공간이 되었다. 하지만 그만큼 부정적인 측면도 공존한다. 그중 하나가 바로 '사이버불링'이다.

 

일반적으로 사이버불링은 ‘의도적으로 다른 사람을 괴롭히는 행위’를 말한다. 악성 댓글부터 혐오 표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어 단순히 정의하기 힘들다.

 

지금까지 사이버불링을 판단할 때, ‘의도성’을 중요한 기준으로 보아왔는데, 이제는 ‘의도가 없이 결과적으로 다른 사람을 괴롭히게 된 행위’ 또한 사이버불링이 아닌지 다시 한번 짚어봐야 할 때이다.

 

예를 들어 “맘충”, “성괴”, “잼민이”와 같은 표현은 큰 사회 문제로 지적되고 있지만, 실제로 이런 표현을 사용하는 사람은 소수다. 다수는 이러한 표현에 문제의식을 느낀다. 이런 표현을 지켜보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사람도 이런 표현이 문제가 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와 같이 인식하고 있다면, 개선 여지는 있다.

 

심각한 것은 문제의식을 갖지 않는 경우이다. 실제 인터넷에서 일어나는 괴롭힘의 현상들을 보면, 무지에 의해 의도 없이 한 표현들이 많다. 일상적으로 무심코 사용하는 말들 중에는 사이버불링이 될 수 있는 표현이 많다.

 

예를 들어 “김여사”, “정신병자 같아”와 같은 말들은 의도적으로 괴롭히려는 목적이 없더라도 듣는 사람에 따라 차별적 언어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여자가 축구선수라니 대단하네요”와 같은 표현은 선의로 한 말이라도 누군가에게 상처를 줄 수 있고, 사이버불링이 될 수 있다.

 

배우지 않고서는 알기 어려운 표현들도 있다. 예를 들어 “미망인”과 같은 단어는 오랜 시간 동안 익숙하게 사용되어 왔지만, ‘미처 죽지 못한 사람’이란 뜻으로 과거 여성에게 순종과 희생을 요구하던 유교적 가치관에 뿌리를 둔 말이다. 현대 사회에는 부적절한 표현으로 ‘고인의 배우자’나 ‘유족’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단어의 의미나 역사적 배경을 모르고 의도 없이 이 단어를 사용하더라도 듣는 사람이 의미를 알고 있다면 상처를 줄 수 있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문제는 이처럼 문제의식을 느끼지 못하고 사용되는 언어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비정상의 정상화’ 과정을 거쳐 점점 더 많은 사람에게 받아들여져 결국에는 차별적 의미가 희석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너 정신병자 같아"라는 표현은 처음에는 강한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었지만,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더 이상 문제로 인식되지 않게 되었다. “맘충”, “성괴”와 같은 자극적인 표현도 언젠가는 익숙해져 누구나 사용하는 단어가 될 수도 있다.

 

나아가 ‘감각적 적응’에 의해 더 자극적인 표현을 찾는 현상도 발생할 수 있다. 강한 자극에 길들여진 사용자는 “빡침”을 “개빡침”으로, “극혐”을 “개극혐”으로 강화된 표현으로 대체하며 사이버불링과 혐오의 표현들이 점점 더 강화되기도 한다.

 

사이버불링의 심각성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로 끝나지 않는다. 이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분위기를 오염시키고, 나아가 사회 전반에 걸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각한 문제다.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는 단순한 의사소통 수단을 넘어 사회적 합의를 반영하는 강력한 도구다. 따라서 아무리 가벼운 표현이라 해도 그 파급 효과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인터넷은 소통을 혁신한 도구인 동시에, 사용자들에게 무거운 책임감을 요구하는 공간이다.

 

사이버불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자신의 언어 사용에 문제의식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단순히 교육만으로는 부족하며, 적극적인 자기 학습과 반성의 과정이 필수적이다. 자신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표현들이 누군가에게 상처를 줄 가능성을 돌아보고, 필요하다면 이를 개선하려는 의지를 가져야 한다. 또한, 학술 자료나 혐오 표현 해설집 등을 참고하여 몰랐던 차별적 언어를 배우고 수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사이버불링은 누구나 가해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 사회가 직면한 중요한 과제다.

 

그동안 극소수의 악플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의를 기울였다면, 이제는 누구나 의도 없이 할 수 있는 혐오 표현과 사이버불링에 주목해야 할 때이다. 의도된 표현뿐 아니라, 의도치 않게 타인에게 상처를 줄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도 교육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단순히 한 번의 캠페인이나 교육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와 디지털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 모두가 문제를 인식하고, 작은 실천으로 이어가는 노력을 기울일 때, 건강하고 존중받는 디지털 사회가 가능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좋아요 싫어요
좋아요
1명
100%
싫어요
0명
0%

총 1명 참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