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2 (수)

  • 맑음강릉 4.8℃
  • 박무서울 3.0℃
  • 구름조금울릉도 5.0℃
  • 박무수원 1.1℃
  • 연무청주 1.1℃
  • 박무대전 0.3℃
  • 박무안동 -4.5℃
  • 연무포항 3.1℃
  • 구름조금군산 -1.0℃
  • 연무대구 -1.9℃
  • 박무전주 1.9℃
  • 연무울산 3.7℃
  • 연무창원 2.8℃
  • 박무광주 0.6℃
  • 구름조금부산 6.9℃
  • 박무목포 1.6℃
  • 구름많음고창 -2.9℃
  • 구름많음제주 5.4℃
  • 구름많음강화 0.3℃
  • 구름많음보은 -2.5℃
  • 흐림천안 -1.0℃
  • 구름많음금산 -3.6℃
  • 구름조금김해시 1.1℃
  • 구름조금강진군 -0.7℃
  • 구름조금해남 -2.0℃
  • 구름조금광양시 1.5℃
  • 맑음경주시 -2.5℃
  • 구름조금거제 2.2℃
기상청 제공
배너

[사이버불링, 잠시만요!] ③편견과 성급한 일반화에 의한 사이버불링

더에듀 | 정부와 학교 차원에서 오랜 세월 사이버불링 예방 교육과 캠페인이 이루어졌으나, 혐오사회, 혐오경제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심각해지고 있다. 새로운 디지털 기술이 도입될 때마다 몰카, 딥페이크 등 신종 사이버불링 수법이 등장하고, 사회 변화에 따라 사이버불링의 개념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에 디지털리터러시협회(CDL)와 구글은 2023년부터 사이버불링 문제를 재조명하고 해법을 제시하기 위해 '잠시만요 캠페인'을 개시했다.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이 참여해 캠페인 영상을 만들어 사이버불링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를 돕고, 교육 콘텐츠를 개발해 학교에 보급하고 학교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더에듀>는 박일준 '디지털리터러시협회' 회장을 통해 교육자와 교육 행정가들이 알아야 할 사이버불링의 위험성을 안내하며 '잠시만요 캠페인'의 성과와 실천 방안을 공유로 예방 활동 및 인식 확산에 나서고자 한다.

 

 

대한민국 인터넷 사회에는 문제를 목격하거나, 어려운 이웃, 의로운 이웃을 보면 돈쭐내 주는 문화가 있다. 인터넷은 때로 이렇게 따뜻한 공간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시기와 질투, 오해와 갈등이 가득 찬 곳이기도 하다. 부정적인 사회 인식과 관계 중 가장 무서운 것은 편견이다.

 

“남자가 왜 울어”, “앞차 여자인가 봐”, “MZ가 다 그렇지 뭐”, “연예인들은 돈을 쉽게 벌잖아”...

 

주변에서 한 번쯤은 들어본 듯한 말들이다. 무심코 들으면 단순한 의견처럼 보이지만, 편견을 담고 있다. 울면 남자답지 못한 것이고, 대부분의 여자는 운전을 못 하고, 요즘 젊은 세대는 개념이 없고, 화려한 직업은 어려움이 없다는 편견을 담고 있다.

 

말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별 의도 없이 무심코 뱉은 말일지라도 듣는 사람의 상황, 감정 상태에 따라서는 상처가 될 수 있는 말들이다. 세상에는 이런 편견의 말들이 가득하다.

 

세상에는 울음이 많은 남자가 있을 수 있고, 남자의 울음이 값질 때도 있다. 여자 카레이서도 있고, 사려 깊고 지혜로운, 반백 년을 산 어른보다 더 어른 같은 MZ도 있을 수 있다. 연예인의 일이 쉽다는 것은 무지한 발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이 일상에서 이런 말들을 쏟아낸다. 이런 말을 하지 않는 사람보다 안 해본 사람이 적을 수 있다. 너무도 많아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지경이다.

 

이러한 편견은 지나친 일반화에 의한 결과이다. 개인의 특성과 다양성을 무시하고, ‘다 그럴 것이다’라고 섣부른 결론을 내려버리는 현상이다.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는 식이다. 이러한 일반화는 잘하면 통찰력이지만, 잘못 하면 편견이 된다.

 

 

인간이 일반화하는 이유는 인간의 뇌가 에너지를 덜 쓰는 쪽으로 진화했기 때문이다. 다른 동물에 비해 인간은 큰 뇌를 갖고 있다. 인간의 신체 중 에너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장기이다.

 

두뇌는 인간을 다른 동물과 차별화시킨 핵심 경쟁력이지만, 가장 많은 에너지를 쓰는 장기이기 때문에 인간은 늘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남들보다 잘 살기 위해서는 머리를 잘 써야 하는데, 많이 쓰자니 에너지가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은 생존을 위해 최대한 머리를 안 쓰려고 하는 쪽으로 진화했다. 이를 설명하는 것이 인지적 구두쇠(Cognitive Miser) 이론이다.

 

성급한 일반화는 인간 두뇌의 대표적인 구두쇠 활동이다. 공부가 재미없다고 느껴지는 것, 심각하고 골치 아픈 이야기가 싫은 것, 새로운 도전보다 익숙한 걸 선호하는 것 모두 같은 이유이다.

 

일반화는 다름을 외면한다. 한 사람의 고유한 배경과 맥락은 무시하고, 하나의 틀에 가둔다. 다양성을 외면하고 집단에 낙인을 찍는다. 이러한 생각과 시선은 사이버 공간에서 강화된다. 익명성으로 용감해진 사람들은 더욱 적극적으로 일반화한다.

 

편견을 없애려면 일반화를 멈춰야 하고, 일반화를 멈추기 위해서는 성찰이 필요하다. 일반화는 구두쇠인 뇌가 무의식중에 벌이는 에너지 절약 운동이기 때문에 도를 닦는 심정으로 성찰을 통해 자기 생각을 관리하지 않으면 멈추기가 힘들다.

 

우리 모두 편견을 가질 수 있다. 일반화가 습관처럼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습관을 고치기 위해서는 자신에게 떠오르는 생각과 입 밖으로 튀어나오는 말을 일단 붙잡고, 자신의 판단이 선입견에서 비롯된 것은 아닌지 의심해 보고, 듣는 사람 입장에서 어떻게 들릴지, 혹시 불쾌하게 느끼거나 상처받지는 않을지 돌아봐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공감 교육이 필요하다. 인간은 누구나 공감의 능력을 갖추고 태어나지만, 발달 과정에서 크게 발달하는 사람도 있고 오히려 퇴화하는 사람도 있다.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고 연마하듯, 공감도 가르치고 훈련해야 한다. 자기의 생각과 말을 살펴보고 자신에게 공감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타인의 생각과 감정을 살펴보며 공감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

 

이렇게 자신과 타인을 향한 공감 능력을 키우고 공감 능력을 바탕으로 성찰한다면, 성급한 일반화를 멈출 수 있다. 자기 뇌를 구두쇠 같은 생각이 아니라 풍요로운 생각으로 채울 수 있다. 이렇게 할 수 있다면, 편견의 말을 줄이고, 객관적이고 포용적이며 열린 말들로 인터넷 세상을 아름답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제 생각의 구두쇠가 되지 말고, 생각과 말의 부자가 되어보자.

 

배너
배너
좋아요 싫어요
좋아요
0명
0%
싫어요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