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5 (토)

  • 맑음강릉 9.0℃
  • 맑음서울 9.5℃
  • 맑음울릉도 12.4℃
  • 맑음수원 7.5℃
  • 맑음청주 9.6℃
  • 맑음대전 7.9℃
  • 맑음안동 5.3℃
  • 구름조금포항 10.5℃
  • 구름많음군산 8.2℃
  • 맑음대구 8.2℃
  • 맑음전주 9.3℃
  • 맑음울산 10.3℃
  • 맑음창원 11.8℃
  • 맑음광주 11.3℃
  • 구름조금부산 13.1℃
  • 맑음목포 11.1℃
  • 맑음고창 7.1℃
  • 맑음제주 13.1℃
  • 맑음강화 6.3℃
  • 구름많음보은 4.8℃
  • 맑음천안 5.8℃
  • 구름많음금산 5.6℃
  • 맑음김해시 11.1℃
  • 맑음강진군 6.8℃
  • 맑음해남 6.0℃
  • 맑음광양시 10.8℃
  • 맑음경주시 6.5℃
  • 맑음거제 9.8℃
기상청 제공

칼럼

전체기사 보기

[전재학의 THE교육] 들쑥날쑥 수능의 난도, 공정함과 신뢰의 딜레마

더에듀 | 2026학년도 대학입학을 위한 수학능력시험이 끝났다. 각종 언론 보도에 나타난 고교생 후배들의 열띤 응원과 학부모의 노심초사 합장한 두 손에서 비장한 각오를 읽을 수 있었다. 앞으로 그날의 수능에 대한 온갖 구설이 난무하고 자질구레한 일들이 또한 언론에 등장하겠지만 매년 수능의 난이도는 도마 위에 오르곤 한다. 어렵고 쉽고 하는 문제가 마치 롤러코스트를 타듯 올해도 벌써 사설 입시 기관들의 분석을 통해 설왕설래하고 있다. 매년 그렇듯이 수능이 끝나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말들이 있다. “올해 수능은 작년보다 어려웠다”, “국어가 너무 불친절했다”, “수학은 변별력이 사라졌다.” 수험생과 학부모, 교사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하지만, 정작 수능을 출제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늘 “난이도는 예년과 비슷하다”고 답한다. 그런데 왜 체감 난이도는 이렇게 요동치는 것일까? 그리고 정말 ‘매년 안정적인 난이도 유지’라는 것이 불가능한 일일까? 사실 수능의 난이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것은 단순히 문제를 비슷한 수준으로 내면 되는 문제가 아니다. 출제위원들은 해마다 교육과정, 학생 학력 분포, 학교 현장의 변화, 그리고 사회적 분위기까지 고려해야 한다. 예컨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