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에듀 정지혜 기자 | 교육부와 글로컬대학위원회는 2025년 글로컬대학 예비 지정 대학으로 전남대, 충남대+공주대(통합) 등 총 18곳(25개교)을 선정했다.
교육부는 예비 지정된 18곳의 실행계획서를 평가한 뒤 오는 9월 10개 이내 대학을 최종 지정할 계획이다.
예비 지정된 대학은 ▲경남대 ▲경성대 ▲계명대 ▲국립금오공과대 ▲동신대-초당대-목포과학대(연합) ▲부산외대 ▲순천향대 ▲연암대 ▲울산과학대-연암공과대(연합) ▲전남대 ▲전주대-호원대(연합) ▲제주대 ▲조선대+조선간호대(통합) ▲충남대+공주대(통합) ▲한국해양대+목포해양대(통합) ▲한남대 ▲한밭대 ▲한서대 등 18개다.
경남대와 동신대-초당대-목포과학대, 울산과학대-연암공과대, 한남대는 지난해 예비 지정됐으나 본지정 때 탈락했고, 올해 다시 예비 지정 명단에 올랐다.
교육부는 이들 대학이 지난해 제시한 혁신 모델의 기본방향을 이어가면서도 추진계획을 개선한 것으로 평가돼 예비 지정 자격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올해가 마지막인 글로컬대학 예비 지정 신청에는 총 55곳(81개교)이 지원해 37곳이 탈락했다.
예비 지정 결과에 이의가 있는 대학은 6월 10일까지 이의신청을 할 수 있고, 그 결과는 6월 중순 확정된다.
예비 지정 대학들은 8월 초까지 지방자치단체, 지역 산업체 등과 함께 혁신기획서에 담긴 과제를 구체화하는 실행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본지정 평가는 오는 9월 종료된다.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대학-지역의 동반성장 선도모델을 ‘라이즈’(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생태계 속에서 공유·확산함으로써 지역이 글로컬대학 프로젝트의 성과를 향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글로컬대학 사업은 대학과 지역의 동반성장을 이끌 30개 안팎의 비수도권 대학을 선정해 5년간 각 1000억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앞서 교육부는 2023년과 2024년 각각 10개 글로컬대학을 선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