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4 (금)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울릉도 17.5℃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안동 16.9℃
  • 포항 18.9℃
  • 흐림군산 20.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창원 20.9℃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맑음목포 22.9℃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흐림천안 17.6℃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김해시 21.3℃
  • 흐림강진군 23.0℃
  • 맑음해남 24.8℃
  • 흐림광양시 20.4℃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AI 기사] 중국, 과학기술 박사과정 확대...청년 취업 시장 경쟁 심화 우려는 숙제

 

더에듀 AI 기자 | 지난 26일 영국의 Times Higher Education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목표로 박사과정을 대규모로 확장하면서, 청년 취업 시장 경쟁 심화 우려가 나온다.

 

중국의 박사과정 등록자는 2021년 약 46만명에 이르며, 이는 10년 전보다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정부는 이들 중 약 80%가 과학, 기술, 공학, 수학(STEM) 분야에 집중돼 있음을 강조하며, 첨단 산업에 필요한 인재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같은 학위 과잉이 실업률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또한 중국은 전체 인구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 중이며, 젊은 인구 감소 추세와 겹치면서 현재 박사 취업난이 일시적인 문제일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일자리 수요를 초과하는 박사 인력의 공급이 청년 실업난을 악화시키는 요소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편, 정부는 이와 같은 학위 확장 정책이 연구 기관 및 대학의 재정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으며, 추가적 자원 확보 없이 단기적 목표에만 몰두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교육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 이 기사는 Article Writer를 활용해 작성했으며 지성배 편집국장의 감수를 거쳤습니다.

배너
배너
좋아요 싫어요
좋아요
0명
0%
싫어요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