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4 (월)

  • 구름많음강릉 21.7℃
  • 맑음서울 15.7℃
  • 맑음울릉도 15.0℃
  • 맑음수원 14.8℃
  • 구름조금청주 16.8℃
  • 맑음대전 15.3℃
  • 맑음안동 19.7℃
  • 구름많음포항 21.6℃
  • 맑음군산 12.6℃
  • 구름많음대구 22.1℃
  • 맑음전주 14.6℃
  • 맑음울산 17.1℃
  • 맑음창원 14.8℃
  • 맑음광주 15.6℃
  • 맑음부산 15.1℃
  • 맑음목포 14.3℃
  • 맑음고창 13.8℃
  • 맑음제주 21.0℃
  • 맑음강화 10.0℃
  • 구름조금보은 16.2℃
  • 맑음천안 16.1℃
  • 맑음금산 15.7℃
  • 맑음김해시 16.2℃
  • 맑음강진군 14.9℃
  • 맑음해남 13.8℃
  • 맑음광양시 16.6℃
  • 맑음경주시 20.1℃
  • 맑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배너

[교육자의 책] 홍제남 공모 교장의 생생한 경험이 담긴 교육혁신 이야기 '교장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

 

더에듀 정지혜 기자 “교장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교장으로 인해 학교가 바뀌는 방향이 학교교육에 도움이 되는 방향인지, 도움이 되지 않거나 오히려 방해되는 방향인지는 필요한 역량을 갖춘 교장인가 여부에 달려 있다.

 

학교에는 어떤 교장이 필요한가? 신간 '교장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에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이 담겨 있다.

 

서울형 혁신학교를 일궜던 오류중학교에서 평교사 출신으로 내부형 공모교장에 선출되어 임기를 마치고, 더 좋은 교육을 만들기 위한 적극적인 활동을 모색하며 도전 중인 홍제남 저자의 이야기는 “학교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은 누구일까요?”라는 물음에서 시작된다.

 

책에는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하며, 그래서 교육혁신의 주체는 교사다’라는 말은 이런 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대변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학교의 여러 교육 활동에 포괄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을 보면 교장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저자는 어떤 교장이 오는가에 따라 학교의 모습은 크게 달라지므로 행정 실무형 민주적 리더십을 지닌 교장이 교장으로 임명되어 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변화에 대한 의지와 역량을 갖춘 교장이 임명되기 위해서는 먼저 현재의 교장 승진제도에 대한 객관적이고 냉정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 책은 ‘행정 실무형 민주적 리더십’을 상상하고 실천한 한 교장의 학교 운영 기록이다. 교장 역할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다. 교장의 역할에 문제의식을 느꼈던 교사가 교장이 되어, 우리나라 현실에서 어떻게 ‘행정 실무형 민주적 리더십’을 발휘하려 노력했는지를 보여주는, 질적 연구의 차원에서 사례를 소개하고자 엮은 책이다.

 

저자는 학교가 바뀌려면 교장이 먼저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교장은 어떤 존재여야 하는가’를 늘 곱씹으며, 학교의 모든 사람, 모든 문제를 세심하게 살피면서 학교 구성원들과 함께 혁신을 일구어 가는 모습은 이 책이 우리 교육혁신의 가이드북이 되기에 충분함을 보여준다.


저자 : 홍제남(洪弟男)

 

강원도 춘천 시골에서 가난한 농부의 7녀 1남 중 셋째 딸로 태어났다. 필자 이름의 한자 풀이가 제남(아우弟, 사내 男)인 이유이다. 시골에서 중학교까지 마친 후 춘천여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에 진학해 민주화운동의 거센 물결 속에 있었다. 결혼해 딸과 아들을 낳아 기르며 인생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2000년부터 과학 교사로 일하며 좋은 수업을 만들기 위해 ‘전국・서울과학교사모임’을 계속해 왔다. 오류중학교에서 2011년 혁신부장을 맡아 초기 혁신학교의 시스템과 문화를 함께 만들었다. 교육혁신 연구를 위한 교사 연구자의 필요성을 느껴 교원대 대학원 공통과학교육과에서 ‘교사 학습공동체’를 주제로 석사, 교육정책 전문대학원에서 ‘학습권 실현 조건 탐색’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19년 오류중학교 공모교장으로 다시 부임해 학교혁신을 지속했다.

 

2024년 2월 서울남부교육지원청 교육지원국장으로 명퇴를 결단하고 광야로 나왔다. 현재는 ‘다 같이 배움연구소’ 사이트를 개설해 연구와 저술 활동을 하면서 이제야 ‘정치적 천민’의 신분에서 풀려나, 좋은 교육을 만들기 위한 좀 더 적극적인 활동을 모색하며 도전 중이다.

 

저서로 <교장의 일>, <더 나은 세상을 위한 학교혁명>, <묻고 답하는 과학 톡톡 카페 1>이 있다.


목차

 

프롤로그  학교에 교장은 필요한가?

 

1부 행정 실무형 민주적 리더십으로 교육활동 중심의 학교 운영

 

1장 학교교육 발전과 학교장의 역할

교장의 역할

변화를 주도하는 역량

학교 변화 원리와 교장의 역할

 

2장 교육활동 중심의 학교 문화 만들기

함께 만드는 학교 교육 비전

학교 업무 구조, 교사를 학생들 곁으로

학교 업무 정상화, 시스템과 문화로

 

3장 학교, 함께 만드는 교육 공동체

갈등 해결은 교장이 적임자다

학부모, 교육의 동반자

학교 운영, 교직원과 함께 가기

학교의 진짜 주인은 학생

지역사회학교, 마을과 함께하는 학교

 

2부 교육과정 전문가로서의 교장, 학교의 모든 것은 교육과정

 

4장 학교의 모든 것은 교육과정

진짜 배울 수 있는 교육과정이 필요

학교 교육환경, 교육과정의 기본 요소

앎과 삶이 함께 가는 교육과정

학습자 주도 맞춤형 교육과정: 학습자가 배우는 조건

평가, 교육과정-수업과 같이 가기

 

5장 학교 시설과 예산

학교 돈은 아깝지 않다?

학교 공간은 누구의 것인가?

 

에필로그  교장 승진제도 개선과 교장 공모제 전면화 필요

배너
배너
좋아요 싫어요
좋아요
4명
100%
싫어요
0명
0%

총 4명 참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