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08 (수)

  • 맑음강릉 1.6℃
  • 구름많음서울 0.0℃
  • 구름많음울릉도 0.5℃
  • 구름조금수원 0.9℃
  • 청주 0.4℃
  • 맑음대전 1.2℃
  • 구름조금안동 0.8℃
  • 맑음포항 3.8℃
  • 맑음군산 0.9℃
  • 흐림대구 2.7℃
  • 구름많음전주 1.3℃
  • 구름조금울산 3.6℃
  • 구름조금창원 4.2℃
  • 광주 1.0℃
  • 구름많음부산 4.1℃
  • 구름많음목포 4.2℃
  • 구름조금고창 0.0℃
  • 제주 7.2℃
  • 구름많음강화 -0.7℃
  • 구름많음보은 -0.5℃
  • 구름많음천안 0.9℃
  • 흐림금산 -0.2℃
  • 구름많음김해시 3.7℃
  • 구름많음강진군 3.5℃
  • 구름많음해남 5.9℃
  • 구름많음광양시 2.2℃
  • 구름많음경주시 3.3℃
  • 구름조금거제 3.5℃
기상청 제공
배너

[띵동! 작은학교입니다] '우당탕탕' 과학 수업 준비

더에듀 | 6~21세 학령인구가 2015년 892만명에서 2024년 714만명으로 크게 줄면서 작은학교 역시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서울 등 대도시 역시 피해갈 수 없는 상황은 작은학교에 대한 이해를 높일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에 <더에듀>는 ‘띵동! 작은학교입니다’의 저자 장홍영 교사(경북교육청 소속 6학급 학교 근무)를 통해 작은학교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장 교사는 “경험은 적지만 신규의 마음은 신규가 가장 잘 알기에 혼자 힘들어하고 계실 신규 선생님을 응원하며 글을 썼다”며 “선생님들을 존경하는 마음을 담아, 어떤 선생님들께 누가 되지 않으면서, 어떤 선생님들껜 감히 조그마한 위로가 되길 기원한다”고 밝혔다.

 

 

‘과학 준비물 준비 미치겠다.’

 

언젠가 나의 일기장에 적었던 문구다. 교대 재학생 때, 나는 큰 학교에서만 교생 실습을 했다. 그곳에선 과학 준비물을 과학 실무사님께서 준비해 주셨기에, 졸업 후에도 편하게 수업을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6학급 작은 학교로 발령받은 뒤 현실의 벽에 부딪혔다. 작은 학교에는 과학 실무사가 없었다. 그래서 실험을 위한 과학 준비물을 챙기는 일은 온전히 교사의 몫이었다.

 

과학 교과는 수업 시간을 조절하기 어려운 과목이다. 실험 결과가 잘못 나오면 여러 번 반복해야 하거나, 수업 시간 내에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는 경우도 다반사다. 게다가 위험한 준비물도 많아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 매번 안전 교육을 시행하지만 전과목을 가르치는 초등교사인 나에겐 많이 부담스러운 과목이다. 그래서 교사가 대표로 시범 실험을 보이고, 여건상 하기 힘든 실험은 영상으로 대체한다.

 

학교에서는 보통 학기별로 준비물을 구매한다. 대부분 실험기구는 갖춰져 있지만, 매 학기 사야 할 소모품도 있다. 그래서 학기 초 재고 파악 후 학년별로 필요한 준비물 목록을 수합 받아 주문까지 하면 어느새 3월이 지나간다. 그래서 내가 하고 싶은 수업을 빨리, 그리고 더 많이 하고 싶어서 사비로 준비물을 사곤 한다. 하지만 후배 선생님들께서는 학교 예산으로 준비물을 알차게 구매하는 능력을 기르시길 응원한다. 나처럼 사비로 준비물을 계속 구매하다 보면 텅텅 빈 통장 잔고만 보게 될 것이다.

 

과학실 서랍마다 라벨링이 되어 있어도 물건이 많다 보니 기구의 정확한 위치를 찾는 일도 쉽지 않다. 수업 전 어두컴컴한 과학실에서 준비물을 뒤지다 보면 도둑 생쥐가 된 듯한 기분도 든다. 학교 구조상 과학실은 구석에 있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지, 과학실은 불을 켜도 음침한 느낌이 든다. 하지만 준비한 실험에서 학생들이 즐겁게 탐구하는 모습을 보면 고생한 기억이 눈 녹듯 사라진다. 반대로 아이들이 성실히 수업에 임하지 않고 흥미를 보이지 않을 땐 맥이 빠진다.

 

또 준비물을 다 갖췄더라도 실험 전날 사전 실험을 하지 못하면 마음이 불편해진다. 이미 실험을 해봤거나 결과를 알더라도, 상황마다 결과가 달라지기에 변수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다음 날 수업에서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나의 게으름 때문인 것만 같았다. 하지만 나를 갉아먹으며 스스로 몰아붙이면 교사 생활이 힘들어질 것 같았다. 그래서 "어쩔 수 없는 상황도 있지. 나는 최선을 다하고 있어. 다음에 더 잘하면 되지"라며 나 자신을 다독이며 교사 수명을 늘리고 있다.

 

아이들 대부분은 실험 등 직접 해보는 활동을 좋아한다. 교사들끼리 종종 나누는 이야기 중 하나는 "우리가 힘든 만큼 아이들이 의미 있는 활동을 할 때가 많다"라는 것이다. 이 말처럼 아이들이 실험을 통해 즐거움과 배움을 얻는 모습을 보면 힘들어도 의욕을 일으키게 된다.

 

솔직히 작은 학교 담임 교사인 나에게 과학 수업에 대한 열정을 지켜줄 수 있는 존재는, 잘 차려진 실험 재료다. 그러나 작은 학교에서는 그런 일이 생기지 않을 것이다.

 

하나를 얻으려면 다른 하나는 포기해야 하는 세상 이치가 참으로 야속하다. 두 가지를 함께 가질 수는 없는 걸까? 오늘도 나는 작은 학교에서 과학의 세계를 탐구하며 궁리한다. 주어진 상황 속에서 아이들과 의미 있는 수업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장홍영 교사 = 경북의 6학급 초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작은학교에서의 경험을 담은 책 '띵동! 작은학교입니다'를 펴냈다. 그는 스스로를 "매일 아이들과 선생님께 배우며 반성하고 사소한 것에 행복해하는 평범한 초등교사"라고 소개했다.

 

배너
배너
배너
좋아요 싫어요
좋아요
8명
100%
싫어요
0명
0%

총 8명 참여


배너